과징금·생산적 금융 지원·세제 개편 같은 실적 악화 요인 산적
|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금융)이 이자·비이자 부문의 고른 성장을 통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시현했다. 금리 인하 기조와 정부의 대출 규제에도 순이자마진(NIM) 방어에 성공하며 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고, 증시 호황에 따른 수수료 이익이 크게 증가하며 개선된 실적을 보였다.
다만, 호실적 전망에는 물음표가 붙고 있다. 가계대출 규제가 이어지고 있는데다 주력계열사인 은행의 홍콩 H지수 기반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관련 과징금 부과를 비롯해 정부가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생산전 금융 지원 그리고 교육세율과 법인세율 인상 등의 여파가 실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그룹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총 15조812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4%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3분기 실적인 5조4836억원은 지난해 3분기 보다 11.3%가 불어난 것으로 모두 역대 최대 실적이다.
금융사별로 보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KB금융이 5조1217억원으로 리딩금융 타이틀을 수성했으며 △신한금융 4조4609억원 △하나금융 3조4334억원 △우리금융 2조 7964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3분기 기준으로는 △KB금융(1조6860억원) △신한금융(1조4235억원) △우리금융(1조2444억원) △하나금융(1조1324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에도 높은 가계대출 금리에 따른 순이자마진(NIM)과 기업대출 증가로 이자이익은 오름세를 보였다.
4대 금융의 3분기 누적 이자이익은 총 31조883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31조2685)보다 약 2% 증가했다. 금융사별로는 △KB금융이 9조7049억원(지난해 동기 대비 1.3%↑) △신한금융이 8조6664억원(2.0%↑) △하나금융이 6조7803억원(3.0%↑) △우리금융이 6조7318억원(1.7%↑) 등으로 모두 최대 실적을 시현했다.
금융사별 3분기 순이자마진(NIM)은 KB금융이 1.96%로 가장 높았으며 신한금융 1.90%,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이 각각 1.75%와 1.74%를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신한금융은 동일했고 나머지 3개사는 증가했다.
이와 함께 비이자이익 가운데 수수료이익도 증가했는데 증시 호황 덕분이다.
3분기 누적 기준, 금융사별 수수료이익을 보면 KB금융이 2조9524억원(지난해 동기 대비 3.5%↑)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금융 2조2082억원(4.7%↑) △하나금융 1조6504억원(6.7%↑) △우리금융 1조5970억원(0.6%↑) 등으로 모두 지난해 동기 대비 개선된 실적을 보였다.
특히 지난해 동기 대비 증권중개수수료 증가율은 4대 금융사 모두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신한금융이 20.0%로 가장 높았고 △우리금융 16.7%△하나금융 16.4% △KB금융 11.5% 등이 뒤를 이었다.
4개 금융사의 3분기 합산 수수료 이익은 2조7564억원으로 KB금융이 2조952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증가했으며 신한금융은 7681억원으로 11.2% 늘어났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기업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과 수수료 이익이 증가 등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개선된 실적을 시현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금융권에서는 향후 실적에 대해선 다소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생산적 금융, 배드뱅크 지원과 함께 세제 개편에 따른 추가 비용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금융권은 '이자 이익'을 비판한 이재명 정부의 기조에 맞춰 가계대출을 줄이고 중소기업 금융 지원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다만 중소기업 대출 평균 연체율이 지난해 말 0.33%에서 올해 3분기 0.43%까지 상승해 상황에 따라 충당금을 확충에도 선제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여기에 금융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은행의 과징금도 실적 오름세에 변수로 작용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홍콩 H지수 ELS 불완전 판매·담보인정비율(LTV)·국고채 전문 딜러 담합 의혹에 대해 제재 여부를 심사하고 있다. 과징금이 확정되면 해당 금액의 여섯 배를 운영 리스크로 인식해 10년 동안 위험가중자산(RWA)에 반영해야 한다.
아울러 내년에는 정부의 '생산적 금융' 정책에도 본격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은행권은 첨단산업 지원을 위한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와 장기 연체채권 채무 조정을 담당하는 새도약기금 등에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
세제 개편에 따라 교육세율(0.5%p)과 법인세율(1%p)도 오를 전망이다. 상상인증권은 4대 금융지주의 세 부담이 교육세 6011억원에 법인세 2740억원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 3분기에는 금리 인하 기조에도 순이자마진 방어와 증시 호황에 따른 수수료이익으로 전제적으로 실적이 개선됐으나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과징금, 생산적 금융 및 배드뱅크 지원 그리고 내년에는 세제 인상까지 예정돼 있어 실적 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강조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