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다우 0.1%↑, S&P 500 0.3%↑, 나스닥 0.4%↑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1일(이하 현지시간)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을 비켜 가며 주요 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셧다운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으로 봤고 9월 민간 고용지표가 예상 밖으로 악화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내 2회 추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을 높이며 주가에 불을 지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3.21포인트(0.09%) 오른 46,441.10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2.74포인트(0.34%) 상승한 6,711.2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95.15포인트(0.42%) 뛴 22,755.16에 각각 장을 닫았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 기록을 각각 경신했다. 셧다운은 과거에도 경제에 미친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2018년 말∼2019년 초까지 역대 최장 기간인 35일 동안 셧다운이 발생했을 때 경제가 일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지만 셧다운 종료 후 곧바로 회복돼 연간 성장률에 미친 영향은 미미했다.

뉴욕증시도 2018년 말을 포함해 셧다운 기간 대체로 강세를 나타냈다. 다만 투자자들은 셧다운이 장기화되면 경제에 뜻밖의 충격을 던져줄 수 있다는 가능성은 염두에 두고 있다. 

9월 민간 고용지표가 예상과 달리 악화됐다. 이날 미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9월 미국의 민간기업 고용이 전월 대비 3만2000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고용통계 수정 발표에 따른 통계 조정으로 4만3000명이 하향 반영된 점을 고려하더라도 미국의 고용 상황이 약화하고 있다는 우려를 키웠다. 9월 들어서도 민간 노동시장이 약화했다는 신호에 투자자들은 연준이 연내 금리를 2회 인하(총 0.50%p)할 것이란 기대를 높였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회의까지 연내 총 0.50%p의 추가 금리 인하가 있을 확률을 88%로 반영했다.

최천욱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