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이틀 전 보안 인증 금융당국도 책임"
| 한스경제=김현경 기자 |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이 롯데카드 고객 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 단기 수익을 좇다 벌어진 인재(人災)라며 책임 추궁에 나섰다. 오는 10월 열리는 국정감사에서 롯데카드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을 직접 증인으로 소환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23일 정무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국회에서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 피해자보호 방안 및 재발 방지 대책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정무위 야당 간사 강민국 의원은 "휴대폰과 신용카드는 현대인의 필수품인데, 최근 통신사 및 신용카드 정보 유출로 우리의 모든 것들이 노출되고 있다"면서 "개인정보를 다루는 금융사가 단기 수익을 위해 정보 보호를 간과한 인재로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MBK가 홈플러스 대주주인 것과 관련, "홈플러스 사태 이후 또 사고가 났다. '또BK'라는 말도 있다"면서 "오는 국정감사에서 김병주 MBK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윤한홍 정무위원장은 MBK 측이 향후 5년간 1100억원 규모의 보안 투자를 약속한 데 대해 "이미 롯데카드 매각 방침을 정해놓고 뒤늦게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상훈 의원도 "국내 8개 카드사 중 롯데카드가 정보보호 예산을 가장 많이 줄였다"며 "MBK가 롯데카드 매각 방침을 정했기 때문에 굳이 투자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냐"고 따져 물었다.
의원들은 유출 사고 직전까지 롯데카드에 최고 보안 인증으로 꼽히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 체계(ISMS-P)를 부여한 금융보안원에도 책임을 물었다. 유영하 의원은 "금융보안원이 최고 등급으로 보안인증한 지 이틀 만에 해커가 들어왔다. 카드사는 보안 튼튼하다고 믿었을 것 아니냐"면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사고 터지고 나서야 엄벌하겠다고 한다. 사고 터지기 전에 막을 생각을 해야하는데, 터지고나서 무슨 엄벌을 할 수 있느냐"고 질타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개인정보 유출로 국민께 불편과 심려를 끼쳐드려 깊이 사과드린다"며 "민감한 정보가 유출된 고객 28만 명 중 66%인 18만4000명이 카드를 재발급하거나 비밀번호를 변경해 리스크가 차단됐다. 빠르면 이번 주, 늦어도 다음 주 중반까지 부정거래 사용 가능성 축소 준비 단계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롯데카드 대주주 MBK파트너스의 윤종하 부회장은 "책임을 통감한다"며 "정보보안 분야에 충분히 투자했다고 생각했지만 사고가 발생했기에 부족했다. 보안을 강화하고 경영진과 피해자 보호 조치를 논의해보겠다"고 했다.
김현경 기자 khk@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