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이억원 위원장, 첫 금융권 대외 일정으로 금융지주 회장 간담회 개최
이억원 신임 금융위원장이 금융지주사 회장을 만나 생산적 금융, 소비자 중심 금융, 신뢰금융 등 세 가지를 강조했다. /연합뉴스
이억원 신임 금융위원장이 금융지주사 회장을 만나 생산적 금융, 소비자 중심 금융, 신뢰금융 등 세 가지를 강조했다. /연합뉴스

|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 이억원 신임 금융위원장이 금융지주사 회장을 만나 생산적 금융·소비자 중심 금융·신뢰금융 등 세 가지를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15일 , 은행연합회에서 KB·신한·하나·우리·NH농협·iM·BNK·JB 등 8개 금융지주 회장 및 은행연합회장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이 위원장의 취임 후 첫 금융권 대외 일정으로, 금융산업이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어 나가기 위한 세 가지 방향의 금융 대전환에 대해 정부와 업계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금융의 미래상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위원장은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금융의 방향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생산적 금융·소비자 중심 금융·신뢰 금융으로의 대전환을 주문했다. 

이 원장은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에 대해 "첨단산업·벤처 및 혁신기업·지역경제·재생에너지 등 보다 생산성이 높은 새로운 영역으로 자금을 공급하고 한국 경제의 미래를 바꿔나가야 할 시점이다"며, "조만간 금융권·금융 수요자,·전문가 등이 함께 하는 자리를 마련해 생산적 금융의 세부 과제를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서 소비자 중심 금융에 대해서는 "자율적·선제적인 채무조정과 서민금융상품의 공급등금융산업이 앞장서서 취약계층의 재기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다시 금융소비자 저변을 넓히는 포용성이 필요하다"며, "금융 수요자를 경영의 중심에 두고 불완전판매 등의 피해 발생 여지는 없는지, 무엇이 궁극적인 고객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등을 영업의 전 과정과 내부통제를 꼼꼼하게 살피는 각고의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당부하면서, 특히 가계부채 관리·부동산 PF 연착륙·제2금융권 연체율 안정화와 취약한 주력산업의 사업재편 등을 언급했다. 

더불어 "18년 만의 금융감독체계 개편은 정책은 보다 정책답게 감독은 보다 감독답게 기능하고 건전성과 소비자 보호의 상충을 해소하는 미래지향적 개편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그 과정에서 금융회사와 금융소비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