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키움증권]
[사진=키움증권]

| 한스경제=김유진 기자 | 키움증권이 주식 거래 시스템의 안정성을 대폭 강화하기 위해 연내 300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단행한다. 지난 4월 발생했던 주문 지연 사태의 재발을 막고, 고객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4일 키움증권은 IT 투자 확대, IT 인력·조직 강화, 외부 컨설팅 진행, 정보 보안 강화를 골자로 하는 ‘IT 안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시스템 안정성 강화를 위해 연내 IT에 300억 원을 추가 투자한다. 매년 꾸준히 지출하는 약 1000억원 규모의 전산비용과는 별개다.

우선 IT 인프라 검증과 품질 관리 체계를 강화한다. 실제 운영 환경과 유사한 검증계를 고도화해 새로 개발된 기능이나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성능분석·검증을 전담하는 조직을 신설하고, IT 내부통제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자체 인력을 충원한다.

거래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 기반의 새로운 원장 시스템도 구축한다. 원장 시스템은 금융기관의 고객 계좌와 거래 내역을 기록·관리하는 핵심 인프라로, 키움증권은 이를 통해 대규모 주문이 몰릴 때도 안정적 거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도 병행한다. 이달 말까지 시스템 품질과 정보보안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과제와 이행 로드맵을 마련할 방침이다. 아울러 최신 보안기술을 적용하고 외부 침해 시도를 조기에 탐지·대응할 수 있도록 통합 보안관제 체계도 강화한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대규모 IT 투자로 시스템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고객들이 보다 안정적인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