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최천욱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부과 시점을 오는 8월 1일(이하 현지시간)이후로는 연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으나, 시장은 그가 그간 말을 계속 바꿔온 점을 의식한 듯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또 구리에 관세(50%)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미 예상했던 바로 시장을 흔들지는 못했다.
8일 뉴욕증시는 보합권에서 혼조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5.60포인트(0.37%) 내린 44,240.76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6포인트(0.07%) 떨어진 6,225.52, 나스닥종합지수는 5.95포인트(0.03%) 오른 20,418.46에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트루스소셜에 “관세는 8월 1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하고 연장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은 전날 자신이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에 관세 서한을 보내면서 관세 부과 시점을 8월 1일로 연기했으나, 좋은 제안을 가져오면 더 미뤄질 수 있다고 한 말과 배치된다.
안토니오 가브리엘 이코노미스트(뱅크오브아메리카)는 “전날 발표된 관세가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관세가 시행되면 물가상승률은 약 0.1%p상승하고 성장률도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는 이달 말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알렸다. 반도체는 구체적인 수치를 말하지 않았지만, 의약품은 최대 200% 부과를 예고했다.
시장에선 제조업 필수재 중 하나인 구리에 부과되는 관세(50%)를 두고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가 구리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발표 이후 구리 가격은 폭등했다.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 따르면 구리선물 가격은 한때 17% 폭등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 시총 4조달러 눈앞 엔비디아 1%↑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M7)중 엔비디아와 테슬라가 각각 1% 이상 상승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시총이 3조9000억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초 4조달러를 눈앞에 두게 됐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1.80% 뛰었다. 해당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27개가 강세였다.
에너지 관련주가 급등하며 셰브런은 3.96%, 엑손 모빌은 2.77% 상승했다. 트럼프가 친환경 에너지 보조금을 줄이는 내용을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뉴욕증시] 트럼프 무역서한 발송에 관세 불확실성 우려 다시 ‘꿈틀’…동반 하락 마감
- [뉴욕증시] 관세 정책보다 고용이 우선…강세 마감
- [뉴욕증시] 출발은 ‘하락’…베트남과 무역협정 체결에 주요 지수 ‘상승’ 전환
- [뉴욕증시] 무역 협상 상황,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불확실성 속 혼조 마감
- [뉴욕증시] 주요지수 최고치 다시 경신
- [뉴욕증시] 장중 사상 첫 시총 4조 달러 ‘터치’ 엔비디아 주도…동반 상승 마감
- [뉴욕증시] ‘브라질 50% 서한’에도 귀담아듣지 않고 동반 상승 마감
- [뉴욕증시] ‘나쁜 관세, 좋은 재료’…강세 마감
- [뉴욕증시] 다소 허 찔린 6월 CPI, “관세가 물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 확인”…혼조 마감
- [뉴욕증시] 트럼프 거침없는 입담,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들었다놨다’…출렁 후 반등 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