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S&P 500·나스닥 장중 고점 기록 경신 눈앞에 둬
다우 1.0%↑, S&P 500 0.8%↑, 나스닥 1.0%↑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7월 8일(이하 현지시간)만료되는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연장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26일 증시는 강세를 나타냈다. 특히 S&P 500과 나스닥 지수는 장중 고점 기록 경신을 목전에 뒀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04.41포인트(0.94%) 오른 43,386.84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8.86포인트(0.80%) 오른 6,141.0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94.36포인트(0.97%) 오른 20,167.91에 각각 장을 끝냈다. 

S&P 500 지수는 이날 장중 6,146.52까지 고점을 높이며 지난 2월 29일 기록한 장중 고점(6,147.43)기록 경신을, 나스닥 지수도 지난해 12월 16일 장중 고점(20,204.58)기록 경신을, 눈앞에 뒀다.

시장에는 백악관이 관세 협상 기한 연장을 시사하면서 긍정적인 분위기가 퍼졌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관세 유예에 대한 질문에 “아마도 연장될 것”이라면서도 “대통령이 내릴 결정”이라고 밝혔다. 

유예기간 만료가 내달 8일로 다가오자, 이를 뒤로 미룰 가능성이 있음을 백악관이 시시하면서 고관세 정책이 결국 협상론이었다는 낙관론이 되살아난 것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4월 9일 무역 교섭 대상국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발효했다가 90일간 유예하는 결정을 내렸다. 트럼프는 지난 11일 무역 협상 시한을 연장할 용의가 있다면서도 기한을 연장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시총 1위 탈환 엔비디아, 하루 만에 역대 최고가 경신

전날 4.3% 오르면 시총 1위를 탈환한 엔비디아는 하루 만에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날 0.5% 상승했다. 

한편 미 국채 금리는 하락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증시 마감 무렵 4.24%로 전장보다 5bp(1bp=0.01%포인트) 하락했다.

트럼프가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후임을 조기에 지명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7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후임 조기 임명설은 미 달러화 가치를 3년여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뜨렸다. 달러 인덱스(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는 증시 마감 무렵 전장 대비 0.4% 하락한 97.3을 나타냈다. 이는 2022년 3월 이후 3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최천욱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