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정비사업·SOC 기대에 하반기 실적 반등 '신호'
PF 구조조정·착공 지연 속 정부 정책에 시선 집중…"실행력이 관건"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모습. / 연합뉴스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모습. / 연합뉴스

[한스경제=한나연 기자] 상반기 내내 침체 국면에 머물렀던 건설업계가 하반기를 앞두고 조심스럽게 반등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대선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주택 공급 확대와 정비사업 규제 완화 등 부동산 정책의 변화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여기에 SOC 예산 조기 집행 등 경기 부양책이 맞물리며 건설업계의 체감 분위기에도 온기가 돌고 있다.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건설업계는 올해 1분기까지 부진한 흐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 분양시장 위축, 지방 미분양 증가 등의 악재 속에서 주요 건설사들은 착공 시점을 미루고 수주 전략을 보수적으로 운영해 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이 한국은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건설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2.2%(-7조9000억원) 줄어들면서 두 자릿수 감소율을 나타냈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4분기(-17.7%)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올 1분기 건설경기가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심각하게 침체한 것은 민간부문의 부진 영향도 있지만 정치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공공 공사도 부진한 데 따른 결과"라고 진단했다.

하지만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정비사업 규제 완화와 주택 공급 확대를 내세운 가운데, 하반기부터 관련 드라이브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동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PF 구조조정 및 더딘 지방 경기 회복에도 대선 수혜 기대감이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며 "여야 후보 모두 주택 공급 확대 및 정비사업 규제 완화를 공약하며 주택경기 회복 기대감이 유입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반기 업황 개선에 따른 공급 확대 및 SOC 예산 집행 본격화 시 건설업종의 수혜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실제 정부는 추경을 통해 철도(2125억원), 도로(931억원) 보수 등 민생 SOC 사업과 임대주택 리츠(1500억원 출자)도 7월 중 70% 이상 집행하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또 국토교통부는 이미 지난 2월 지방 미분양 주택을 LH가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대책을 발표하며 지난 4월 한 달간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대한 매입신청을 받았다.

이 밖에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대규모 SOC 인프라에 대한 기대감이 공약을 통해 일부 반영되면서, 시장에선 관련 분야 투자 확대 가능성도 주목하고 있다. 다만 대선 과정에서 GTX와 같은 대형 인프라 공약이 다수 제시되긴 했지만, 실현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올 상반기까지는 분양가, 자금조달 등에 발목이 잡혔지만, 정책적인 신호가 명확해지면 사업 추진 여건도 달라질 수 있다"며 "정비사업, SOC, 공공택지 등에서 하반기 수주가 증가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회복을 확신하기는 어렵다는 목소리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공사비 인플레이션과 지방 경기 침체는 여전히 부담 요소"라며 "금리 인하 여부, 정책 실행 속도에 따라 하반기 반등의 폭이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건설업계는 내수 부진 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SOC 투자 확대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한건설협회는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가장 효과적인 SOC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며 지난 22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에 '올해 SOC 3조원 추경 편성 및 내년도 SOC 예산 30조원 이상 편성'을 건의했다.

한나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