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률 초과 달성 유지 위해 노력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장애인 고용 실태 지적을 받았던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들이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2일 정부에 따르면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사장 이명수)과 한국보건의료정보원(원장 염민섭)이 장애인 고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지난 5년간 높은 액수의 장애인 고용 부담금을 납부했고, 한국보건의료정보원는 1%대의 낮은 장애인 고용률로 국회로부터 강한 질타를 받았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서미화 의원이 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납부한 부담금은 1억 3900만원이다.
이처럼 혈세를 낭비했지만, 지난 2023년부터 장애인 고용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실제로 2023년 14명(의무 고용 인원 13명)을 달성했으며 ▲2024년 34명(14명) ▲2025년 1분기 기준 23명(14명)을 기록했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장애인 채용인원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 9월 사내일자리 아이디어 발굴 공모전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적합 일자리 10건을 발굴했으며, 우수 아이디어 결과에 따라 연계 채용을 진행했다.
또한 기관장 주재 장애인 일자리 간담회를 수시로 개최하며 업무수행 시 애로 사항이 없는지 살폈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관계자는 "포용적 고용환경을 조성하고 장애인과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해에는 고용률 8.9%라는 성과를 달성했으며 올해 역시 1분기에 6.23% 고용률을 유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초 친화직무 발굴, 인식 개선 교육을 통해 법정의무고용률을 준수할 계획이고, 2028년 이후로는 법정 기준 초과 운영이 목표다"고 말했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최근 5년간 4100만원의 부담금을 납부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장애인 고용률 1.22%를 기록하며 복지부 산하 기관 28곳 중 최하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지난해 7월에 장애인 고용 계획을 수립해 처우를 개선하고 지원 자격 등을 낮추며 채용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를 통해 지난해 11월 채용을 마무리했고, 총 10명을 선발해 고용률 6.3%를 기록했다.
다만 고용률 충족에도 불구하고 정보원은 올해에도 부담금을 납부해야 한다. 신규 채용한 인원의 근로 기간이 1년 미만으로 상시 고용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정보원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상시 고용률을 충족하지 못해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다"며 "올해는 1분기 기준 장애인 고용률 6%를 달성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노력해 고용률 초과 달성을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