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권선형 기자] 5일 개막한 인터배터리 2025에서 K배터리 3사인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이 기술혁신으로 현재의 캐즘(일시적 수요둔화)을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겸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은 개막전 취재진과 만나 “올해 1분기 또는 상반기가 배터리 업황의 저점이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최주선 삼성SDI 사장도 “캐즘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삼성SDI는 올해 1분기를 저점으로 보고 2분기부터 점차 회복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북미 시장 전망에 대해서 최 사장은 “북미 단독 공장은 수요 악화로 인해 보수적으로 보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성장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김 사장은 “미국 신정부의 정책은 근본적으로 현지 생산을 장려하는 방향이므로 선진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주목받은 기술은 지름 46mm 크기의 원통형 배터리다. 이에 대해 최 사장은 “46파이 배터리의 고객사를 이미 확보했고 샘플도 제출했다”며 "양산도 곧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46시리즈와 리튬인산철(LFP), 셀투팩(CTP) 등 다양한 제품으로 중국 업체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기수 SK온 R&D본부장은 “SK온도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 준비를 진행 중”이라며 “차별화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고체배터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최 사장은 “3년 전부터 개발해 온 황화물계 전고체 전해질이 파일럿 스케일에서 좋은 결과를 내고 있다”며 “올해부터 양산 검토를 시작해 2026년 말 대량 양산 준비를 마칠 것”이라고 밝혔다.
‘인터배터리 2025’는 오는 7일까지 진행되며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첨단 배터리 기술과 미래 모빌리티의 청사진을 선보일 예정이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