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원료 조달·생산 등에서 우회 방안 찾아
구체적 정책 제시 없어 과도한 우려라는 지적도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세계 최대 원료의약품 수출국 중 하나인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며 전세계 제약바이오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 내 병원, 제약회사들이 선제적 대처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K-제약바이오 기업들 역시 관세 여파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10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와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병원과 제네릭 제약회사들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새로운 관세를 면제하라고 트럼프 대통령에 서한을 보내 압박을 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병원과 제네릭 회사들 사이에서는 미국 내 의약품 부족과 가격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25%의 관세 부과는 30일 유예했다. 그러나 다음 타깃으로 유럽연합을 목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추가 관세를 넘어 보편 관세까지 적용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병원협회(AHA)에 따르면 핵심 의약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원료의 30%, 일회용 안면 마스크의 경우 3분의 1, 의료 분야에 사용되는 비닐 장갑 대부분도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미국 무역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은 2023년 해외에서 1760억달러(약 256조 5200억원) 이상의 의약품을 수입했고 이중 60억달러(약 8조 7450억원)가 중국에서 수입됐다.
미국 의약품협회(AAM) 역시 이런 상황에서 관세가 추가될 경우 저가 의약품 제조업체들은 이윤 마진 부족이 심화될 수 있으며 자국 내 의약품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머크, 암젠, BMS와 같은 대형 브랜드 제약회사 경영진들은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가 자사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들의 경우 자체 제조, 미국 혹은 유럽 파트너사를 활용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하는 규제 사항을 지키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도 제약이다.
미국제약협회(PhRMA)에 따르면 기업들이 새로운 제약 공장을 건설하고 규약을 준수하는데 5년에서 10년이 소요될 수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관계자는 "케미컬 완제의약품을 판매하거나 바이오의약품을 판매하는 제약사 중들의 경우 관세 인상이 판매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유럽에 대한 관세 인상이 더 리스크로 다가올 수 있어 관심과 우려를 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미국이 실제로 의약품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할지, 한다면 어느 정도 비율이며 어떤 의약품을 대상으로 할지 우리를 포함한 모든 나라들이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기업들 역시 미국의 관세 정책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제 막 미국 시장에 진출한 단계인데다 미국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최대 수출국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개한 2023년 기준 의약품 수출현황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미국에 10억2754만달러(약 1조 4936억원) 규모의 의약품을 수출했다.
국내 기업들은 원료의약품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 기업들과의 파트너 맺어 생산·판매하는 방안 등을 이용해 이용해 관세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에서 수입한 원료의약품은 전체에서 35%의 비중으로 1위를 차지했다. 2022년 38% 대비 3%p 감소하긴 했지만 수입국 3위인 일본이 10% 정도인 것에 비하면 3배 이상 의존하고 있는 셈이다.
SK바이오팜과 셀트리온, GC녹십자 등은 미국 시장에 진출하며 직접 판매망을 구축했고, 원료의 현지·우회 조달에 대해서도 방안을 마련해왔다.
김민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인해 관세에 대한 우려가 있으나 아직 구체화된 정책이 없고 (SK바이오팜의 경우) 관세 우회 방안이 존재하는 점을 고려해 해당 우려는 과다하다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무역협회, 美 보편관세 부과시 한국 수출액 1.9%↓
- 트럼프 다음 주 '상호 관세' 발표…"많이도 적게도 바라지 않아"
- 美 무역대표 후보 "韓 기업 멕시코 우회 '무임승차' 용납 못해"
- ‘신학기 특수’ 삼성·LG 'AI 노트북'으로 나란히 승부수
- 식약처, ‘의료용 오존 멸균기’ 등 의료기기 일부 품목 신설
- ‘사법리스크’ 털지 못하는 이재용…삼성 경영에 미칠 영향은
- GC녹십자, WORLD심포지엄에서 희귀질환치료제 연구 성과 공유
- 미중 무역전쟁 본격화 국면...한국 경제에 악영향
- ‘세노바메이트’ 연간 흑자…SK바이오팜, 美 현지 세일즈 미팅 개최
- 셀트리온, 신규 완제의약품 공장 착공 허가…年 800만개 액상 바이알 생산
- K-바이오, 투자 훈풍 올까…잭팟 터지며 기대 커진다
- 의약품 관세 25%, 갈팡질팡 트럼프…K-제약바이오 신중론
- SK바이오팜, 의약품 관세 대응 준비 완료…"美 생산 준비 마쳐"
- 일라이 릴리, 트럼프 관세 압박에 39조 투자 결정…美 현지공장 건설
- [기자수첩] 미키 17과 트럼프의 바이오 의약품 관세 전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