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올해 세계 건설시장 6.4% 성장…우크라 종전시 재건사업 참여 기대
'중동 강경책'으로 수주액 감소·진행 중인 프로젝트 지연 등 우려
러시아 미사일 폭격에 파괴된 키이우의 한 아파트. /연합뉴스
러시아 미사일 폭격에 파괴된 키이우의 한 아파트.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이하 현지시각) 취임식을 갖고 제47대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트럼프 2.0 시대' 막을 올렸다. 예상대로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무역장벽은 높이고 고(高) 관세를 앞세운 탓에 우리나라 산업계 전반이 긴장하는 가운데, 건설업계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올해 해외건설 수주 목표로 500억달러를 제시했다. 지난해 해외수주 실적(371억달러) 대비 34.8% 늘어난 수준이다.

국토교통부는 K-시티, K-철도 등 우리 기술력과 원팀코리아를 통한 협력체계, 인프라 외교와 연계한 지역별 맞춤 수주 전략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해외 투자개발사업 지원을 위해 1조5000억원 규모의 PIS(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펀드 1단계 투자를 완료하고, 1조1000억원 수준의 2단계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 보호무역주의 정책으로 인해 우리 건설사들이 해외수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위한 미국의 적극 개입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고, 실제로 재집권 이후 대외 분쟁과 관련해 가자지구 휴전을 거론하며 자신의 역할을 '피스메이커'로 규정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조기에 종전시키겠다고 수차례 언급해온 만큼 적극 협상에 나서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23년부터 오는 2033년까지 우크라이나 재건에 필요한 금액은 4863억달러로 추산되며, 우리나라는 이미 주요 7개국(G7) 주도의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협의체에 가입해 도로, 주택, 발전소 등 재건사업에 참여 중이다.

현대건설은 2023년 7월 우크라이나 키이우 보리스필 국제공항공사와 공항 확장공사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고 △제일엔지니어링은 같은 해 9월 우만 시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사업 수주 △삼부토건은 지난해 9월 호로독시와 스마트시티 4.0 프로젝트 관련 업무협약을 맺었다.

우리나라의 해외건설 수주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IHS 마킷에 따르면 올해 관련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6.4% 성장한 15조6000억달러로 예상된다. 오는 2030년에는 21조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봤다. 특히 올해 중동·아프리카·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봤다. 구체적으로 중동은 전년 대비 11.8%, 아프리카는 9.9%, 아시아는 7.1%, 유럽은 7.0%, 북미는 3.2%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강경책'은 신규 발주 감소와 프로젝트 지연 등으로 우리 건설업계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과거 트럼프 1기 정부(2017~2021년) 때 중동 수주액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2015년 165억3025만달러였던 중동 수주액이 2018년 92억448만달러, 2019년 47억5729만달러로 급감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우리 건설사의 해외건설 수주액은 2019년 223억 달러(31조2000억원)에서 2021년 306억 달러(42조8000억원), 2023년 333억 달러(46조6000억원)으로 꾸준히 상승해 왔다. 특히 지난해 3·4분기까지 중동 지역 건설 수주액은 119억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9.5% 증가했다. 이는 전체 해외 건설 수주액의 57%에 달하는 수치다.

친환경·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도 위축될 수 있다. 우리 건설사들은 전 세계적인 흐름으로 자리 잡은 친환경 관련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관련 일감 확보 및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친환경 정책에 대해 '그린 뉴 스캠'(신종 녹색사기)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업계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잠재적 기회를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사업 추진에 있어서는 신중한 접근을 보이고 있다"며 "재원 조달 문제와 실질적인 수익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장기적인 전망과 실행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