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제조기업 특혜 강화될 듯
한국 제약바이오기업, 미국 활동 새 기회요인 전망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임기 시작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시대는 대한민국 제약바이오 기업의 미국 활동에 새로운 기회요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오는 20일 공식 출범을 앞두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는 미국 내 약가 인하와 공급망 강화를 중심으로 정책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김혁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미유럽팀 부연구위원은 최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제약바이오 산업 인식을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했다. ▲미국 약가가 지나치게 높으며 이는 대형 제약회사(빅파마)가 미국으로부터 부당하게 이윤을 착취하기 때문이고 ▲빅파마가 다른 국가에는 약가를 낮게 책정해 미국이 부당하게 이용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김 부연구위원은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제시됐던 행정명령 '13948' '13944'에 주목했다. 미국의 건강보험(메디케어 파트 B, D)의 약가에 최혜국 대우 적용을 명시한 13948은 제약사가 메디케어에 공급하는 의약품 가격이 해당기업이 공급하는 OECD 국가 중 가장 저렴한 수준으로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공급망 강화를 위한 13944는 연방정부 조달시장에서 핵심의약품에 대해 미국 내 생산된 제약 품목만을 허용하도록 조치했다.
아울러 제약바이오 시장에서 중국을 배제하려고 하는 점도 특징이다. 미국 정부가 우려하는 생명공학 기업을 비롯해 이들과 거래하는 기업과 계약을 맺거나 보조금을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는 ‘생물보안법’ 통과는 끝내 불발됐지만 향후 비슷한 법안 추진이 예상된다.
김 부연구위원은 “1기 행정부는 강제적인 약가인하나 미국에서 생산된 제품만 허용하겠다는 정책을 펼쳤는데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다”며 “2기 행정부는 이 같은 정책들을 빠른 속도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제조 기업에 대한 특혜가 강화될 것으로 우려되면서 현재 미국 내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의 활동 점검 필요성이 대두된다.
현재 미국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개발(CDO)과 판매법인을 운영하고 있고, 셀트리온이 미국 판매법인을 운영 중이다. SK바이오팜은 미국법인을 통한 직접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했고 LG화학은 지난 2023년 미국 아베오(Aveo)를 인수했다. 유한양행은 유한USA를 통해 글로벌 연구센터, 바이오텍 스사트업, 제약 기업과의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이외에도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MS)의 미국 시러큐스 공장을 인수했고, 4800만달러(약 700억원)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운트바이오도 1억달러(약 1450억원)를 투입해 미국에 인슐린 공장을 건설했다. 지놈앤컴퍼니는 미국 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위한 생산시설을 착공한 바 있다.
미국 약물 관련 조달시장 규모는 지난 2022년부터 2024년 12월 11일까지 776억달러(약 113조원)에 달한다. 이 중 외국계 기업의 계약 규모는 대략 10%를 차지하며 해당 계약 중 1/4만이 미국 내에서 제조됐다. 한국 기업의 경우 셀트리온 USA와 SK라이프사이언스가 미국 연방정부와 계약했지만 전반적으로 한국 기업이 조달시장에서 주계약자로서 활발하게 참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김 부연구위원은 “중국에 대한 규제 강화 움직임은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의 미국 내 활동에 대한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약가를 낮추기 위한 정책들이 강제성을 띠고 있어 실제 추진 가능성은 미지수지만 전반적으로 바이오시밀러 및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강화돼 해당 분야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더욱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 한국 CDMO 기업의 역할도 중국 견제 정책 강화와 함께 미국 내에서 주목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특히 “우리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우 아직 독립적으로 미국 연방 정부 조달시장에 참가하는 사례가 드물다는 점에서 미국 내 고객사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현지 생산 기반을 강화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며 “미국 내 독자적 공급망 구축보다는 현지 기업과 합작을 통해 진출하거나 직접 인수하는 방안 등이 제시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우리 기업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창구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 기업들은 미국 정부나 의회를 상대로 한 대관 기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미국 투자 시 최대한 연방 정부나 주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 투자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시시각각 변하는 미국의 정책에 대한 정보 수집 기능도 필요하다”고 했다.
김동주 기자 ed30109@sporbiz.co.kr
관련기사
- 2025년 제약바이오 주목해야 할 4가지 키워드는?
- [신년사]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 “위안과 희망 주는 산업으로 거듭나길”
- K-제약바이오의 선견지명…강달러에 웃음꽃 ‘활짝’
- [2025년 제약바이오 전망] 빅파마 라이선스 인 증가 예상
- 몸집 커지는 K-제약바이오…글로벌 6대 제약 강국 되려면?
- 셀트리온, 2028년까지 13개 신약 IND 제출…파이프라인 로드맵 공개
- K-제약바이오의 굴욕…글로벌 R&D 투자 50위권 밖
- “K-제약바이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맞춰 정부 지원 필요”
-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 “트럼프 2기 행정부 시대, 기민하게 대응해야”
- K-제약바이오, 中에서 기회 찾아야
- ‘美 생물보안법 불발’ 방어 태세 굳히는 중국…K-CDMO 어쩌나
- 구광모 바이오♥ 통했다…‘실적 반토막’ LG화학, 생명과학 나홀로 성장
- ‘창립 80주년’ 제약바이오협회, 지상 4층 규모 미래관 기공식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