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신장질환 발생 감소 효과 확인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고중성지방혈증 치료제인 페노피브레이트의 대규모 빅데이터 분석 연구 결과가 내분비 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저널에 최근 게재됐다고 6일 밝혔다.
연구를 진행한 박철영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고중성지방혈증으로 스타틴 계열의 약물을 복용한 환자에서 페노피브레이트를 처방받은 146만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 페노피브레이트를 복용한 군과 복용하지 않은 군을 각각 41만3715명씩 나눠 비교했다.
분석 결과, 페노피브레이트 복용군이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말기 신장 질환의 발생이 24% 감소하는 것이 확인됐다. 특히 고혈압, 단백뇨, 중등증 신장질환 (사구체여과율 60 mL/min/1.73 m² 미만)을 가진 환자에서 페노피브레이트의 신장 보호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고혈압 또는 단백뇨가 있는 환자의 경우, 페노피브레이트 복용 시 말기 신장질환의 위험이 27% 감소했다. 중등증 신장질환 환자의 경우에는 페노피브레이트 복용 시 말기 신장질환의 위험이 50% 감소했다.
이는 페노피브레이트가 혈중 중성지방을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효과와 함께, 항염증 효과 등을 통해 신장을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는 설명이다.
이전에 국내에서 진행된 페노피브레이트 관련 빅데이터 연구(ECLIPSE-REAL 연구)에 따르면 스타틴을 복용하는 대사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페노피브레이트 병용요법과 스타틴 단독요법을 비교해 페노피브레이트 병용 시 주요심혈관사건 위험이 감소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기존 연구에서 확인된 페노피브레이트의 심혈관 혜택과 더불어, 이번 연구를 통해 스타틴을 복용하는 성인에서 페노피브레이트를 병용할 경우 만성 신장질환으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이 추가적으로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지씨셀, 신임 대표에 김재왕 GC녹십자웰빙 본부장 내정
- [신년사] 허은철 GC녹십자 대표 “작년보다 더 기대되는 한 해”
- GC녹십자, 연말 취약계층 등 이웃돕기 성금 2억원 기탁
- 성장 장애물 치운 GC녹십자, 내년부터 성장 가속화 기대
- GC녹십자, ‘탁센 레이디 30캡슐' 출시
- GC녹십자, ‘그린노즈플러스 연질캡슐’ 리뉴얼 출시…"졸음 증상↓"
- GC녹십자, 국제표준 정보보호 체계 강화…"개인정보보호 인증 신규 획득"
- GC녹십자 '알리글로', 경쟁사 ADMA 압박에도 기대 여전
- GC녹십자, 중증형 헌터증후군 치료제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