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거래금액 탑5 상업업무용 빌딩 모두 서울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지난해 11월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량은 전월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거래금액은 74.1% 상승한 5조726억원을 기록하며 2022년 6월 이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플래닛은 2일 '2024년 11월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시장 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전했다.
작년 11월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량은 1182건으로 전달(1245) 대비 5.1% 줄었다.
반면 거래금액은 전월(2조9139억원) 대비 74.1% 증가한 5조726억원으로 집계되며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연중 최고치이자 2022년 6월(5조5904억원) 이후 가장 높은 거래금액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전년 동월(1127건, 2조3376억원) 대비 거래량은 4.9%, 거래금액은 117% 오른 수준이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월 거래량이 동일한 제주(18건)을 제외한 7곳에서 거래량이 증가했다. 10월 1건의 거래량을 기록한 세종이 200% 오른 3건의 거래를 성사하며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고 이어 △부산(92건) 22.7% △강원(61건) 22.0% △전남(71건) 14.5% △충북(51건) 13.3% △충남(86건) 11.7% △서울(184건) 7.6% 순으로 집계됐다.
거래금액은 △부산(3714억원) 222.4% △서울(3조7401억원) 149.6% △충남(525억원) 35.7% △세종(8억원) 33.3% △제주(117억원) 31.5% △충북(431억원) 18.7% △전남(304억원) 9% △강원(304억원) 7.8% △대구(613억원) 7.4% 등 9개 지역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거래량이 감소한 지역은 9곳으로 전북(48건)이 전월 대비 34.2% 줄어들며 하락폭 1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대전(18건) 33.3% △경북(77건) 28% △경남(68건) 24.4% △광주(30건) 21.1% △인천(48건) 20% △울산(15건) 16.7% △경기(278건) 6.7% △대구(34건) 2.9% 순이었다.
거래금액은 거래량이 줄어든 지역 중 대구를 제외한 8곳에서 동반 하락했으며 10월 대비 적게는 20.5%(경북)에서 많게는 75.6%(울산)까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거래금액대별로 나누면 10억 미만 빌딩이 전체 거래 건수의 62.9%(744건)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10억 이상 50억 미만 빌딩은 25%(296건)로 50억을 넘지 않는 빌딩 거래가 87.9%로 집계됐다.
11월 상업업무용 빌딩 중 가장 높은 금액에 거래된 건물은 서울시 종로구 평동에 위치한 디타워(돈의문)로 8953억원에 매매가 이뤄졌다. 이어 △영등포구 여의도동 소재의 미래에셋증권빌딩이 3727억원 △서초구 서초동 코오롱스포렉스(신관)가 1648억 △중구 회현동3가 서울N스퀘어가 1545억원 △영등포구 여의도동 NH농협캐피탈빌딩이 1405억원을 기록해 단일 거래금액 기준 탑5 빌딩 모두 서울에 위치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호진 기자 hoo1006@sporbiz.co.kr
관련기사
- [2025 산업전망] 트럼프에 희비 갈리는 한국...“불확실성의 연속”
- [2025 5대그룹 전망] 불확실성 확대로 전략 수정 불가피
- [2025 전망] 트럼프·탄핵·참사에 결국 'IMF 소환'…복합위기 직면
- [2024 건설·부동산 결산] 침체 직격탄…양극화와 선별수주
- 분양시장 침체 고스란히…경매시장도 직격탄
- 보성그룹, 'BS그룹'으로 사명 변경…그룹 이미지 통합
- 여전히 불안한 부동산시장…새해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는
- 지난해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 '1조달러' 달성
- 건설업 위기 극복 총력…새해 화두는 '선택과 집중'
- BS한양, 2025년 수주·안전 기원 마니산 등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