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변동진 기자] 윤석열 정부의 ‘2000명 의대 정원 증원(의대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갈등이 비상계엄 및 대통령 탄핵소추안 통과 이후에도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다.
문제는 양측의 알량한 힘겨루기로 인해 환자와 입시생과 학부모 등 범국민적 피해가 누적되고 있다는 점이다.
밑도 끝도 없이 ‘2000명’이라는 숫자를 앞세워 의대증원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인 정부가 원인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의사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간호사 등 비(非)의사 보건단체가 집단행동에 나설 때면 “환자 곁으로 돌아오라”면서 목소리를 내더니 자신들의 푸짐한 밥상에 쌓인 밥알 조금 나눠가질 수 없냐고 물으니 상을 통째로 박살냈다.
의료 단체에서도 현장을 떠난 각종 이유를 대고 있지만, 정당성이 없다. 의사·의대생 커뮤니티에 게재된 반인륜적 발언이 고스란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응급실 뺑뺑이로 환자가 사망했다는 보도가 있을 당시 “매일 1000명씩 죽어나갔으면 좋겠다” “응급실을 못 가? 어쩌라고. 너희들이 이렇게 만들었잖아” “죽음에 대한 공포로 온몸이 마비되고, 의사에게 진료받지 못해서 생을 마감할 뻔한 경험들이 여럿 쌓이고 쌓여야 생명을 다루는 의사에 대한 감사함과 존경심을 갖게된다” “의사들은 드러누울수록 가치가 올라간다” “다 죽어라. 니들이랑 협의하는 단계는 지났다” 등 입에 담을 수도 없는 발언을 퍼부었다. 심지어 복귀 전공의들의 신상을 털고, 여기서 멈추지 않고 조리돌림까지 했다.
지금 벌어지고 있는 대한의사협회 차기 회장 선거도 ‘의대 증원’을 막을 싸움꾼 뽑기 수준일 뿐, 현장을 떠난 이들을 다시 환자에게 돌아가게 할 궁리는 하지 않는다.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정치권도 ‘환자를 위해’ 의료 정상화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 지난 9일까지 진행한 상반기 신규 레지던트 모집을 보면, 수련병원 대부분의 지원자가 한 자릿수에 그치는 등 지원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내년 1월 말부터 레지던트 2∼4년 차 지원을 받는다. 현재로선 인턴 및 레지던트 2∼4년 차 모집도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내년 상당 기간까지 대형병원의 의료진 부족 및 의료 공백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
나라가 어수선한 만큼 공직자와 의료인이 머리를 맞대고 ‘의료대란 해결’을 위한 단일대오를 형성하길 간절히 바란다.
변동진 기자 bdj@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