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이월 제한으로 증원 막자는 의견 제기
오주환 서울의대 교수 "24·25학번 교육 파행 막아야"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오는 31일 시작될 정시모집을 앞두고 2025학년도 의대증원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단호히 선을 그은 가운데, 일부 의료계에서도 현실을 받아들이고 교육 정상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26일 교육계에 따르면 2025학년도 의대 수시모집 합격생 10명 중 7명 이상이 등록을 포기했다.
종로학원이 23일 기준 수시 추가 합격자를 공식 발표한 의대 9곳을 분석한 결과, 모집 인원 546명 중 399명(73.1%)이 등록을 포기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2명 증가한 수치다. 의대 정원이 증가되며 수시모집에서 중복 합격한 수험생이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수시모집 미충원 인원을 정시로 이월하지 않는 방법으로라도 의대증원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충북대 의대 교수와 학생들은 성명을 통해 "수시에서 수능 최저 등급을 충족하지 못한 미달 정원을 정시 모집 인원으로 이월하지 말아야 한다"며 "정시 최초 합격자 발표 후 타 대학 중복 합격으로 미등록된 인원분은 추가 선발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최근 정례브리핑에서 "2025학년도 모집요강에 정시 이월 부분 등이 명시돼 있다"며 "이미 전체적인 내용이 법령에 따라 진행된 사항이다. 법령상 예외적 규정이 '천재지변'인데 그에 해당하지 않으면 공표된 사항을 바꾸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이에 따라 이날(24일) 대입 수시전형 합격 통보가 마무리되고, 정시 이월 모집분 규모는 대학별로 오는 28일부터 공개될 예정이다.
정시 모집이 코앞으로 다가오며 의료계 내부에서도 지금 2025학년도 의대증원을 막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오주환 서울의대 교수는 '내란극복, 국민안정을 위한 의학교육 정상화 토론회'서 의료필요인력 추계 연구를 발표하며 현실을 받아들이고 교육 파행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교수는 "현재의 의료 행위별 수가를 제공하는 의료시스템을 개선하면 2040년까지 의사 수가 부족하지 않다"며 "의료시스템을 개선하지 않는다 해도 2035년까지는 공급초과가 진행되고 2037년부터 의사 공급부족이 시작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7년부터 의대증원을 시작해도 늦지 않았을 것이다. 2025학년도 정원 확대 반대, 동맹휴학 복학 고려해 모집인원 0명 등의 의료계의 주장은 타당성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이 주장은 이미 시기적으로 늦었고,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킬 수 있어 2024·25학번이 잘 교육받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 교수는 이미 증원분을 반영한 2025학년도 의대 입시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의학 교육 파행을 막기 위한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부는 의학교육 파행의 책임을 져야 한다"며 "올해 휴학생과 내년 신입생이 2025년 이후 수련을 마치는 10년간의 교육의 질을 보장할 합리적인 계획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