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정연 기자] 비상계엄이 해제된 가운데 김민석 최고위원 등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의 과거 발언이 회자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8월 윤석열 대통령이 김용현 대통령경호처장을 국방부 장관에 내정했을 때, 계엄 가능성을 처음 언급했다.
김 최고위원은 8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차지철 스타일의 야당 ‘입틀막’ 국방부 장관으로의 갑작스러운 교체는 국지전과 북풍(北風) 조성을 염두에 둔 계엄령 준비 작전이라는 것이 저의 근거 있는 확신”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탄핵 국면에 대비한 계엄령 빌드업을 진행 중이라고 비판하며 “계엄령 준비 시도를 반드시 무산시키겠다”고 말했다.
특히 김용현 장관의 출신 고교가 충암고라는 점을 강조하며 윤 대통령이 김 장관을 비롯해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박종선 777사령관 등 충암고 출신을 군 핵심 정보라인으로 채우고 있다고 ‘충암파’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김 장관은 “정치 선동”이라고 맞받았다.
김 최고위원은 9월 20일 정부가 계엄을 선포할 때 국회의 동의를 받도록 하는 내용의 계엄법 개정안도 발의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같은 의혹을 제기했다. 이 대표는 지난 9월 1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의 회담 모두발언에서 “최근 계엄 이야기가 자꾸 나온다”며 “종전에 만들어졌던 계엄안을 보면, 계엄 해제를 국회가 요구하는 걸 막기 위해 계엄 선포와 동시에 국회 의원을 체포·구금하겠다는 계획을 꾸몄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말했다.
당시 대통령실은 대변인 공식 브리핑을 통해 “있지도 않고, 하지도 않을 계엄령을 주장하는 것은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정혜전 대변인은 "날조된 유언비어를 대한민국 공당 대표가 생중계로 유포한 사실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 손톱만큼 근거라도 있으면 말해달라"고 했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김 장관 발탁을 두고 “윤석열 탄핵 상황이 오면 계엄을 선포하는 것이 우려된다. (충암고) 친정 체계가 구축되면 그런 것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김 의원은 4일 윤 대통령의 계엄 해제가 이뤄진 뒤 유튜브 채널 ‘CBS 2시 라이브’와의 인터뷰에서도 “윤 대통령의 그동안의 발언과 행동에서 계엄 준비의 정황을 엿볼 수 있었다”고 기존 주장을 이어갔다. 그는 “경호처장 공관에서 특전사령관, 수방사령관, 방첩사령관이 비밀 회동을 한다든가 이상민 장관이 방첩사를 방문한다든가. 그런 것들은 다 비상적이었다”고 말했다.
김민석 최고위원도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대통령이 반국가 세력이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했고 동원될 세력을 충암파 재배치하는 것이 이상했다"며 "논리, 세력, 동기를 보고 (계엄 준비) 흐름을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비상계엄 사태는 또 2018년 논란이 된 기무사령부(현 방첩사령부) '계엄문건' 의혹을 다시 소환시키기도 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소요 사태에 대비해 2017년 3월 당시 기무사가 위수령과 계엄령 시행을 검토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2018년 7월 문재인 전 대통령은 군검 합동수사단을 꾸려 수사토록 했다.
특히 이번 계엄사령관에 합참의장이 아닌 4성 장군인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임명된 점은 당시 계엄문건과의 연관성을 의심받는 포인트다. 당시 기무사가 작성한 '계엄문건'에는 계엄사령관으로 육군총장을 건의하는 내용이 있었다. 계엄사령관이 군사 대비 태세 유지 업무에서 자유로워야 한다는 이유에서였다.
박안수 육참총장을 계엄사령관으로 임명한 것이 이 계엄문건을 참고해 이뤄진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나오는 이유다.
김정연 기자 straight3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