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모듈러 건축 시장 규모 2030년 2조원대 전망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장수명 주택이나 수요자 취향에 맞게 가변형 평면구성이 가능한 라멘구조 주택, 레고처럼 조립·건설하는 모듈러 주택 등 새로운 주택 유형이 속속 도입되고 있다. 특히 2030년 2조원 시장으로 커질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모듈러 건축'이 주목받고 있다.
2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모듈러 주택은 공기 단축과 자원 절약 등으로 공사비를 줄이고, 안전·품질 관리가 용이해 정부 차원에서 활성화에 나서면서 건설사들도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모듈러 건축은 자재를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생산하는 방식이어서 기존 철근콘크리트 공법보다 공사 기간을 최대 50%까지 단축할 수 있다. 대부분 작업이 실내에서 이뤄져 안전하고 악천후로 작업이 지연·중단되는 경우도 최소화한다.
또 공장에서 각 파트를 맡은 전문 인력이 작업하기 때문에 높은 품질이 보장되는 등 현장 중심의 시공과 비교해 이점이 많아 시장이 급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 2019~2020년 270억~370억원 규모였던 국내 모듈러 건축 시장은 가파른 성장으로 2022년 1757억원으로 커졌고, 오는 2030년에는 2조원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의 스마트건설 활성화 정책 강화와 국내 주요 건설사의 참여가 시장 성장의 배경으로 꼽힌다.
국토교통부는 2022년 11월 정부와 공공기관, 모듈러 주택 관련 민간단체로 구성된 정책협의체를 출범시켰고, 모듈러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제도개선을 위한 연구용역도 진행 중이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공공 발주 확대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1000조원 이상 규모로 추산되는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모듈러 건축기술이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부는 우크라이나의 에너지·모듈러 건축 분야 사업 참여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했다.
진현환 국토부 제1차관은 지난달 15일(이하 현지시각)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한-폴란드 인프라 및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포럼에서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해 과거 전후 재건에 성공한 한국과 폴란드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우크라이나와 긴밀하게 협력할 것을 제안했다. 양측의 공적 자금을 활용해 기업 간 협력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구체적인 공동 프로젝트를 개발해 나가자"고 말했다.
국내 건설사들은 정부의 기조에 발맞춰 모듈러 건축 시장 개척에 나섰다.
최근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제철은 연구·개발한 모듈러 건축 기술을 시험하는 테스트베드 'H-모듈러 랩'을 구축했다. 모듈러 건축물의 제작성, 시공성, 디자인 등 다양한 요소들을 현장 적용 전에 미리 검토해 특화 기술과 경쟁력을 확보하고 모듈러 신사업 수주에 박차를 가한다는 구상이다.
모듈러 주택 전문 자회사인 '자이가이스트(XiGEIST)'를 만든 GS건설은 지난해 충남 당진에 생산공장을 설립해 사업을 본격화하고 관련 기술 특허를 출원하는 등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있다.
이밖에 DL이앤씨는 2017년부터 모듈러 기술을 개발해 40여 건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지난해에는 전남 구례에 연면적 2348㎡, 26가구 규모의 모듈러 단독주택 타운형 단지를 준공했다.
국내 모듈러 시장의 선두주자로 꼽히는 포스코이앤씨는 모듈러 전문 자회사인 포스코A&C를 통해 모듈러 공동주택인 청담 MUTO를 국내 최초로 시공했고, 평창 동계올림픽 미디어 레지던스 호텔과 LH 옹진 백령 공공실버주택 등을 맡은 바 있다.
다만 모듈러 시장 확대를 위해선 정책적 지원이 꾸준히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모듈러 주택 시장 확대를 향한 전방위적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학교와 군 막사, 기숙사 등을 거쳐 공공주택으로 확대됐으나 여전히 수요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유럽이나 미국 등에선 모듈러 시장이 활성화돼 50층 이상 건축에도 활용된다. 장점이 많고 리스크도 적은 모듈러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관련 규제 완화와 혜택 제공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 차원의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정체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김호진 기자 hoo1006@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