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 감염률 감소 추세…간흡충多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올해 장내기생충 실태 조사 결과 전반적 감소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하동군, 구례군, 안동시 등은 아직도 10% 이상의 높은 감염률을 보여 개선이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오는 3일과 4일 양일에 걸쳐 ‘2024년 장내기생충질환 조사사업 평가대회’를 개최해 지자체와 유관기관 그리고 전문가가 함께 2024년 장내기생충(간흡충, 장흡충, 회충, 편충, 폐흡층 등 11종) 감염 실태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관리 발전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한다고 2일 밝혔다.
2024년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조사는 5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영산강) 주변 유행지역 39개 시·군 주민 2만6958명을 대상으로 질병청 주관 하에 각 지역 보건소와 한국건강관리협회의 협력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전체 장내기생충 감염률(4.5%) 및 발암성 병원체인 간흡충 감염률(2.3%)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전반적으로는 감소 추세를 이어 나갔다. 기생충별 감염률은 간흡충 2.3%, 장흡충 1.9%, 편충 0.2%, 참굴큰입흡충 0.1%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장내기생충 유행지역 주민 기생충 감염률을 낮추기 위해 지난 2005년부터 지자체와 함께 지속적으로 관리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사업초기 평균 10% 이상이었던 장내기생충 감염률이 최근 5% 이하로 감소되는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낙동강 및 섬진강 유역 일부 지역(하동군, 구례군, 안동시)은 아직도 10% 이상의 높은 감염률이 지속됨에 따라 해당 지역 집중조사와 함께 식습관 개선 홍보 등의 장내기생충 퇴치를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유행지역 내 간흡충 등 장내기생충 감소 가속화를 위해 일부 감염률이 높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하는 등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감염을 예방하고 감시체계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했다.
김동주 기자 ed30109@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