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정연 기자] 지난 9월 미국 도매 물가가 예상치를 밑돌며 인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운 데다 은행주가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우량주 위주로 매수세가 몰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두 강세로 마감했다.
1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09.74포인트(0.97%) 오른 42,863.8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4.98포인트(0.61%) 상승한 5,815.03,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60.89포인트(0.33%) 오른 18,342.94에 장을 마쳤다.
미국 노동부는 9월 생산자물자지수(PPI)가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과 같았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0.1% 상승을 하회하는 수치다.
9월 수치는 0.2% 상승했던 전월치보다 상승폭이 둔화했다. 근원 PPI도 전월 대비 0.1% 상승해 전월치 0.2% 상승보다 둔화했다.
전날 발표된 9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반적으로 예상치를 웃돌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한 바 있다. 그러나 선행지수 성격의 도매 물가가 식고 있다는 소식에 투자자들은 위험 선호 심리를 되살렸다.
미국 경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자신감을 반영하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악화했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10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68.9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9월의 70.1에서 1.2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PPI와 함께 시장을 지탱한 것은 은행들의 호실적이다. 이날 JP모건체이스는 회계연도 3분기의 주당순이익(EPS)이 4.37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LSEG의 예상치 4.01달러를 웃도는 수치다.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6% 늘어났다.
특히 JP모건은 일 년 전에 비해 순익은 2% 감소한 129억달러로 줄었지만, 순이자수익은 3% 오른 235억달러로 늘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올해 매출 전망치도 JP모건은 상향 조정했다.
웰스파고 또한 전 분기 EPS가 1.52달러로 시장 예상치 1.28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매출도 예상치에 거의 부합했다.
미국 CNBC는 월가는 은행 업종을 경제 건전성의 척도로 보고 향후 실적 발표 기간에 대한 기대치를 정하는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이에 JP모건은 이날 4.44% 뛰었다. 다우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수익률이 가장 높았다.
JP모건이 뛰면서 뱅크오브아메리카도 4.95%, 웰스파고는 5.61% 상승했다. 골드만삭스도 2% 넘게 올랐다.
김정연 기자 straight3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