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수출 기업, 수출 제조 과정 참여 해외시장 경험 직·간접 축적
“간접수출 기업 DB화 통한 체계적 관리 등 육성 전략 필요”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한국이 세계 수출 5강에 진입하고 양적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간접수출 기업의 직수출화 등 역할 증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간접수출 기업은 국내 기업의 수출 제품 생산에 전체 혹은 일부 기여하거나, 완제품을 수출 중개업자를 통해 해외로 판매하는 기업을 말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0일 발간한 ‘간접수출 기업의 직접수출 확대 방안’ 보고서는 이 같이 강조하고 간접수출 기업이 향후 한국의 직접 수출 저변을 크게 확대할 수 있는 중요한 잠재 기업군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한국의 직수출 대비 간접 수출액 비중은 37.7%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019년 이후 간접 수출액의 연평균 증가율은 5.5%로 직수출 증가율(0.89%)을 상회했으며, 수출 역성장을 경험했던 지난해에도 간접수출은 증가세(1.6%)를 유지했다.
보고서는 간접수출 기업들이 수출 제조 과정에 참여하며 우리 수출을 뒷받침하는 핵심 플레이어(Player) 역할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또 이 과정에서 해외시장 진출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축적해 왔다고 평가했다. 특히 경쟁력을 갖춘 간접수출 기업이 직접 수출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설명했다. 올해 1~8월 직수출 대비 간접수출규모 평균(35.1%)을 뛰어넘는 자동차부품(214.9%) 등의 산업에서 직수출 전환의 여지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무역협회가 간접수출 기업(공급, 구매기업 905개사)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간접수출 기업의 직수출 병행 비율은 선박‧부품(100%)과 화장품(94.0%) 업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동차‧자동차부품(65.5%)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직수출을 시작 또는 확대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93.4%에 달해 기업들의 직수출 참여 의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직수출 성공 요인으로 가격경쟁력(64.4%), 제품 차별성(60.0%)을 꼽았고, 애로사항으로는 해외 바이어 발굴(60.7%), 국가별 규제‧인증(36.1%) 순으로 응답했다.
한국무역협회 김규원 연구원은 “자동차‧선박 등 국내 대기업에 납품하는 기업들은 세계적 수준의 품질을 입증한 것인 만큼 이들이 글로벌 공급망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며 “간접수출 기업의 산업별‧지역별 데이터베이스(DB)화 등 체계적 관리‧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직수출 증진과 국내 공급망 안전화를 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관련기사
- "4분기도 수출 호조세 지속"…선박‧반도체‧화학 개선 전망
- "화물차 안전운임제로 운임 10% 넘게 상승"…수출기업 72% 반대
- "공사비 아끼려 中시멘트 들여온다고…" 건축업계 신뢰·안정성 비상
- 정부, 공사비 안정 위해 불법·불공정행위 합동점검
- 국내 체류 외국인 250만명 시대…“유학생 활용해 인력난 해소 필요”
- 무협,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수출지원 강화
- 무협 “경제리스크 분산 위해 서비스산업 육성 필요”
- 무협, 프랑스 파리서 ‘K-상품’ 전시회…120만달러 계약
- 트럼프發 극변하는 통상환경...“취임 즉시 美무역적자 해소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