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에도 찍히는 폭탄 구름..."서부의 미래 보여주는 재난"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미국 서부를 덮친 최악의 산불이 더 파괴적으로 변한 배후에는 기후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악시오스에 따르면, 기후 전문가들은 이번 산불을 두고 여름과 겨울의 극단 기상이 맞물린 '기후 채찍직(Climate Whiplash)' 현상에 주목했다.
미국 서부 지역은 2년 연속 습한 겨울에 이어 올해 기록적으로 덥고 건조한 여름이 이어졌다. 이 같은 변화 때문에 잡초와 덤불이 급성장했으며, 큰 규모의 화재도 일어나지 않아 언제든 대형 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조성됐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UCLA) 기상학자인 대니얼 스웨인은 "춥고 습한 날씨와 덥고 건조한 날씨가 번갈아 나타나면서 화재와 관련한 기상 조건이 극단적으로 변해 캘리포니아주에 파괴적인 산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스웨인은 "온난화 기후가 서늘한 시기와 습한 시기, 극도로 덥고 건조한 시기 사이에 갑작스러운 변화를 더 많이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며 이를 '수중 기후 채찍질(Hydroclimate Whiplash)'이라고 표현했다.
톰슨 리버스대학의 마이크 플래니건 산불 전문가도 "기후변화와 함께 점점 더 흔해지고 심각해지는 극단적인 화재 기상 조건으로 인해 직접 진압할 수 없는 격렬한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플래니건은 "사람들이 항상 모든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리노 네바다대학교의 닐 라로 산불 전문 기상학자는 "산불 발화원이 매우 다양하며 인구 밀집 지역 인근에 많이 존재한다"며 "산불 피해 규모를 결정하는 것은 화재 기상 조건이고 이는 기후에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악시오스는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 인구 증가, 토지 관리 관행으로 인해 위험한 산불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라면서 산불을 유발하는 현재의 기후 상황은 서부 지역의 미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CNN은 미국의 랜드샛 8 위성이 지난 9일 서남부 산불이 만들어낸 화재적운(Pyrocumulus)을 촬영했다면서 거대한 화재적운이 폭탄이 터진 것 같이 부풀어 올라 수백 미터(m) 상공으로 많은 연기와 재를 뿜어냈다고 전했다.
CNN은 화재적운이 이후 화재적란운(Pyrocumulonimbus)으로 변하면서 번개와 비를 만들었다면서 비는 소방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번개를 새로운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관련기사
- [1.5℃ HOW] 환경부 "낙동강 녹조 감소세...조류경보 해제"
- [1.5℃ HOW] 해리스, 美 기후정책 바꾸나...“석유 붐 강조”
- [1.5℃ HOW] 폭염경보 울리는 가을...이번 달부터 '라니냐' 가능성↑
- [1.5℃ HOW] 선진국의 ‘위선’...비폭력 기후 시위 '억압'
- [1.5℃ HOW] 새 지침 적용하자 온실가스 배출량 6.6% 증가
- [1.5℃ HOW] 인니, "대기질 개선 위해 보조금 지급 연료 판매 줄일 것"
- [1.5℃ HOW] 석유 공룡, 기후 소송 직면...증가 추세 보여
- [1.5℃ HOW] 기후 위기로 인한 폭염, 신장 질환 위험 높여
- [1.5℃ HOW] 사하라 사막 녹지화 진행..."2~6배 이상 습해져"
- [1.5℃ HOW] "美 연방대법원, 정부 상대 기후소송 재개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