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대선후보 TV토론서 역대 최고 석유 생산량 강조
1조달러 규모 재생에너지 투자도 강조하면서 ‘실용적 접근’ 시사
“화석연료 산업 노동자와 기후 유권자 사이 균형 맞추려는 모습 보여”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국립헌법센터에서 ABC방송 주관으로 진행된 미 대선후보 TV토론에서 재임 기간 석유 붐을 강조해 기후 정책을 바꿀지 주목된다. / 사진=연합뉴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국립헌법센터에서 ABC방송 주관으로 진행된 미 대선후보 TV토론에서 재임 기간 석유 붐을 강조해 기후 정책을 바꿀지 주목된다. /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카멀라 해리스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가 바이든 현 정부의 기후정책을 바꿀지 주목된다. 대선후보 TV토론에서 석유 붐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경합주(스윙 스테이트) 유권자들을 겨냥한 에너지·기후 정책에 대한 실용적인 접근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11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국립헌법센터에서 ABC방송 주관으로 진행된 대선후보 TV토론에서 해리스 부통령이 재임 기간 역대 최고 석유 붐을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해리스는 미국의 원유 및 천연가스 생산량 급증을 두 차례나 언급했는데, 이는 주로 친환경 정책을 내세우고 캘리포니아 법무장관 시절 대형 석유 회사들과 맞섰던 이력을 가진 후보자로서는 놀라운 화석연료 수용이라는 평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에 따르면 지난해 원유 생산량은 하루 평균 1290만 배럴로, 2019년 도널드 트럼프 전 정부 시절 기록한 연간 최고 생산량을 경신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 하에 미국 내 원유 생산량은 기록적인 수준에 도달했지만, 일부 진보 및 친환경 유권자들의 반감을 우려해 민주당에서조차 쉬쉬하는 분위기였다.

이와 관련해 토론에서도 공방이 벌어졌다. 해리스 부통령은 이날 입장을 바꾼 이유를 묻는 사회자의 말에 “내 가치관은 바뀌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나는 2020년 프래킹을 금지한다고 말했다”며 “하지만 부통령으로서 프래킹을 금지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프래킹 문제가 포함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상원 통과 당시 자신은 당연직 상원 의장으로서 캐스팅보트를 던졌다고 덧붙였다.

해리스는 “다양한 에너지원에 투자해 해외 석유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역사상 가장 큰 폭으로 미국 내 석유 생산량을 늘릴 수 있었던 것은 외국 석유에 지나치게 의존할 수 없다는 내 가치관과 관련된 접근법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해리스 부통령을 향해 “지난 12년간 프래킹에 반대해 왔다”며 “그는 펜실베이니아에서 절대 프래킹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리스가 선거에서 이기면 펜실베이니아의 프래킹은 취임 첫날에 금지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이어 “나는 재선 시 미사용 기후기금을 회수하고 풍력 프로젝트를 취소할 것”이라고 공언하며 “저들(민주당)은 미국을 다시 파괴하려 들 것이고 석유와 화석연료는 죽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통령이 단독으로 프래킹을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은 제한적이며, 사유지에서 프래킹을 금지하려면 의회의 법안 통과가 필요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또한 해리스 부통령의 재생에너지 지지를 공격하며, 태양에너지가 효과를 보려면 광활한 토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해리스가 TV토론에서 펜실베이니아와 같은 주요 경합주의 석유·가스 산업 관련 노동자들과 젊은 기후 유권자 모두에게 호소할 수 있는 균형을 찾으려는 모습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해리스는 “부통령으로서 지난 4년 동안 청정에너지 경제에 1조달러(약 1339조원)를 투자했으며, 동시에 국내 가스 생산을 역사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고 말했다. 이는 경합주 유권자를 겨냥한 에너지 및 기후 정책에 대한 ‘실용적 접근’을 시사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했다.

기후 옹호단체인 오일 체인지 유에스(Oil Change US) 앨리 로젠블루스 캠페인 매니저는 미국 대선후보 TV토론 후 발표한 성명에서 “해리스 부통령은 새 장을 열고 더 나은 미래를 그리겠다고 약속했다”고 그를 지지했다.

이어 “이는 화석연료를 종식하고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보장하기 위한 결정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신연수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