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세계경제 전망 60% ‘긍정’...지정학적 갈등 여전히 불안
올 하반기 세계 경제 ‘인재 모시기’ 치열 전망
구조개혁, 정치적 의지와 대중 공감대 관건
BIAC 2024 Economic Policy Survey
BIAC 2024 Economic Policy Survey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주요국 경제계는 올 하반기 세계 경제가 글로벌 불확실성에 적응하며 점차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지정학적 갈등에 따른 에너지와 운송 공급망 불안성이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OECD 기업산업자문위원회(BIAC, Business and Industry Advisory Committee at OECD)가 회원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 경제정책 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BIAC는 민간 주도 성장을 목표로 기업 및 산업계를 대표해 OECD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1962년 설립됐다. 한경협은 1996년부터 BIAC 한국 대표 회원기관으로 활동 중이다. 이번 조사는 OECD 회원국 GDP의 99.9%를 차지하는 37개 국가 대표 단체가 참여했다.

조사 결과 각 회원국 대표 경제단체 59%는 올 하반기 경영환경을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지역 갈등에 따른 지정학적 불안으로 에너지와 운송 부문의 타격을 우려했다.

BIAC 2024 Economic Policy Survey
BIAC 2024 Economic Policy Survey

하반기 글로벌 거시경제 전망에서 가장 우려되는 요소로는 ‘지정학적 갈등’이 73%로 가장 높았다. 지정학적 불안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큰 부문으로는 과반 이상이 ‘에너지’(75%)와 ‘운송’(64%)을 꼽았다. 특히 운송 부문의 경우 지난해 같은 조사(13.8%) 대비 무려 50.2%p나 증가했다. 전쟁 장기화가 운송비 부담과 납품 지연, 물류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BIAC은 이에 대해 “지정학적 갈등이 인프라 개발과 국경 간 무역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특히 운송장비 제조에 대한 영향까지 고려하면 동유럽에서는 물류 뿐 아니라 관련 장비 교역에 대한 상당한 압력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구조개혁, 핵심과제지만 정치적 의지 부족”

하반기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로는 ‘규제개선’이, 구조개혁 장애요인으로는 ‘정치적 의지 부족’이 지적됐다.

OECD 회원국 경제단체들은 하반기 기업환경에 대해 81%가 ‘약간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 경쟁력 요인 중에는 규제환경(10%)과 노동력 및 기술발전(18%)의 개선이 가장 더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금융 재원 접근(73%) △디지털 기술 도입(71%) △인프라 투자(65%) 등은 하반기에 개선될 기업 경쟁력 요소로 꼽혔다.

BIAC은 “세계 각국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인 규제개선 및 노동력 문제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BIAC 2024 Economic Policy Survey
BIAC 2024 Economic Policy Survey

OECD 회원국 경제단체들은 구조개혁이 필요한 부문(복수응답)으로 △디지털 전환과 인프라(75%) △인적자원(68%) △공공 인프라(62%)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특히 인적자원 투자가 지난해 같은 조사 대비 30%p 상승, 글로벌 경제에서 인재 모시기가 주요 이슈가 될 전망이다.

BIAC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디지털화 등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가 일어나면서 기업들이 필요한 노동력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글로벌 노동력 부족 현상을 ‘2024년 기업들에게 가장 중요한 이슈 Top 10’중 하나로 선정한 바 있다.

구조개혁 추진의 장애요인(복수응답)으로는 ‘정치적 의지 부족’(78%)과 ‘개혁에 관한 대중의 부정적 인식’(63%)이 주로 지적됐다. 특히 대중의 인식 부족을 꼽은 응답은 지난해 8%에서 올햐 63%로 치솟아 주목된다. BIAC은 “경제회복을 위해서는 강력한 구조개혁 추진력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대중의 참여를 유도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공급망 교란 등 전례 없는 환경에서도 세계 경제가 회복력을 보이고 있지만, 완전한 회복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이 필요하다”라며 “대내적으로는 규제개혁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와 대외적으로는 지정학적 갈등 등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와 인재확보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조나리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