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박시하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도장 공정 없이도 매끄러운 차체 표면을 유지하고는 높은 수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무(無)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 양산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제조 공법은 현대차 전동화 비즈니스 플랫폼 모델 ‘ST1 카고’의 루프 스포일러에 최초로 적용됐다.
이 기술은 플라스틱 복합재를 활용해 별도의 도장 작업 없이 차량 외관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제조 공법이다. 일반적인 자동차 도장 공정을 대체하기 위해 투명층과 컬러층이 적층된 컬러 원소재를 활용해 생산 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저감할 수 있다.
공법은 컬러가 입혀진 원소재를 가열해 연화시킨 뒤 금형 위에 올려 루프 스포일러 모양의 외관 성형물을 제작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후 특정 이상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성형물 안쪽에 열경화성 소재인 폴리우레탄과 유리 섬유를 도포한 뒤 금형으로 다시 누르는 과정을 거쳐 최종 제품을 완성한다.
기존에는 루프 스포일러를 제작하기 위해 차체 도장과 동일한 도장 및 샌딩 작업이 필요했다. 하지만 무도장 복합재 성형기술을 활용하면 이러한 도장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차체 도장 공정은 자동차 제조 공정 가운데 에너지 소비량의 40%를 차지할 정도 에너지 소모가 많다.
또한 도장 품질 측면에서도 일반 도장 기법 대비 높은 수준의 광택과 풍부한 발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컬러 원소재를 사용했기 때문에 가벼운 손상이 나더라도 상처 부위에 원색 그대로의 색상이 유지된다는 것도 이점이다.
아울러 이 기술에 적용된 복합소재는 기존 공법으로 제작되던 루프 스포일러 소재인 섬유 강화 플라스틱 대비 무게가 20% 이상 가벼워 전비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현대차와 기아는 향후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을 후드 패널 등과 같은 차체 부품 제작에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박시하 기자 seeha@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