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한중일 3국 정상, 인적 교류 등 6개 분야 협력 약속
"유엔 등 다자 협력체서도 긴밀히 소통"
윤석열(가운데)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가운데)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한국과 일본, 중국의 정상회의가 27일 열렸다. 4년5개월 만에 성사된 이번 회의에서 3국 정상은 "한반도·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 유지가 곧 3국 공동의 이익이다"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한중일 공동기자회견에서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3국 공동의 이익이자 책임임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중일 3국 공통의 핵심이익인 역내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3국이 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 번영에 책임 있는 중요한 국가로서 2024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으로 함께 활동 중인 만큼 3국 협력 체제 내에서뿐만 아니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 다자 간 협력 체제에서도 긴밀히 소통할 것임을 재확인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이날부터 오는 6월4일 사이 인공위성을 실은 로켓을 발사하겠다며 그에 따른 해상 위험구역 3곳을 설정하겠다는 계획을 국제해사기구(IMO) 및 전세계항행경보제도(WWNWS)에 따라 일본에 통보한 것에 대해 "소위 위성발사는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국제사회가 단호히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라고 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안정이 3국에 공동의 이익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면서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에 관해 저는 세계 어디서든 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리창 중국 총리는 북한을 직접적으로 거론하지 않았지만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추진하는 데에 힘을 보태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중국은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인 해결을 추진하고 있다. 사태가 더 악화되고 복잡해지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삼국은 예민한 문제와 갈등 이견을 선처하고,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 관심사를 배려하며 진정한 다자주의를 실천해 동북아 지역에서의 안정을 함께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3국 정상은 △인적 교류 △기후 변화 대응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도모 △경제통상 협력 △보건 및 고령화 대응 협력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 협력 △재난 및 안전 협력 등 6대 분야별로 협력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3국 정상들은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번영이 공동이익이자 공동책임이라는 점"을 적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