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정연 기자] ‘라인야후 사태’가 세계적으로 IT 분야에서 뒤처진 일본이 라인 플랫폼에 대한 욕심으로 일으켰다는 분석이 나왔다.
위정현 IT 시민연대 준비위원장(중앙대 다빈치가상대학장)은 24일 국회에서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콘텐츠미래융합포럼, 콘텐츠경영연구소 등이 주최한 ‘라인 사태 긴급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위 위원장은 토론회 기조 발표에서 “이 사태의 가장 본질적 원인은 일본이 IT 후진국이라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 IT 기업의 침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에서 일본은 라인 플랫폼을 강탈하려는 욕구를 갖고 있다”며 “일본이 최근 사태를 오랫동안 준비한 것”이라고 말했다.
위 위원장은 2019년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가 라인과 야후재팬 운영사인 Z홀딩스 경영을 통합하기로 합의했을 때부터 문제였다고 봤다. 그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처음부터 라인야후의 대주주인 A홀딩스 지분을 50대 50으로 보유한 점에 대해 “정상적인 기업 결합 방식이 아니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소프트뱅크의 일방적 독주로 양 기업 간 시너지가 소멸했다”며 라인야후의 자회사인 IPX, 라인넥스트 등도 모두 소프트뱅크에 넘어갈 수 있는 위기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위 위원장은 한국 정부가 일본에 행정지도 중 지분 매각을 요구한 내용을 철회하라고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 위원장은 “국회가 초당적으로 일본 정부의 비합리적이고 한일투자협정 및 국제법을 무시하는 탈법적인 행정 지도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하는 결의안을 채택해야 한다”며 “이번 가을 국정감사에서 관련 사안에 대한 조사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용기 의원은 “일본이 ‘제2의 침략’을 계획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는 것은 심히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의 해결을 위해 한국 정부의 외교적 노력뿐 아니라 양국 간 비즈니스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도 있었다.
토론자로 나선 이지평 한국외대 융합일본지역학부 교수는 “라인야후 문제는 정치 쟁점화함으로써 네이버, 소프트뱅크의 차원을 넘어 한일 협력, 경제 안보 등 양국의 국가적 이해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사항이 됐다”고 밝혔다.
이어 “외교적 현안으로서 해결 자세도 중요하고 한일 협력 비즈니스의 강화를 통해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해 11월 제3자의 서버 공격으로 라인야후에서 라인 앱 이용자 개인정보 51만건 유출이 발생하자 올해 3월 5일과 4월 16일 두차례나 이례적으로 행정지도를 실시했다.
일본 정부는 행정지도에서 라인야후를 상대로 자본관계 재검토를 요구했다. 이를 두고 라인야후의 공동 대주주인 네이버로부터 라인야후의 경영권을 빼앗으려 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김정연 기자 straight3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