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정부가 지역에서 창업한 기업이 성장하고, 지역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지역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성장지원 서비스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정부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지역 성장지원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지역의 성장지원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은 △투자·보육 서비스 경쟁력 강화 △법률·회계 등 전문서비스 경쟁력 강화 △성장지원 서비스 인프라 조성·정비 △창업·벤처기업 자금조달 기회 확대 등으로 진행한다.
먼저 정부는 지역 소재 투자·보육 전문기업의 펀드 결성을 지원한다.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가 개인투자조합에 20% 이상 출자 시, 지자체를 포함한 법인의 출자 허용비율을 30%에서 49%까지 늘리기로 했다.
또 지역의 우수한 투자·보육 전문기업이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의 벤처펀드 특별보증을 신청할 경우 평가와 보증을 우대하고 보육 전문기업의 재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지역 엑셀러레이터(AC) 세컨더리 펀드 출자 규모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역 소재 투자·보육 전문기업의 실적·경력쌓기 지원 방안도 함께 내놨다. 정부는 모태펀드 위탁 운용사 선정 시, 지역 소재 투자·보육 전문기업에 대한 평가 가점을 확대하고 민간 주도형 청년창업사관학교를 올해 5개소에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지자체가 지역사회 문제 해결 등을 위한 펀드 조성 시, 지역의 투자·보육 전문기업에 우선 위탁 운용토록 하고, 지자체 합동평가 지표에 ‘지역 창업생태계 활성화’ 관련 항목 신설을 추진한다.
아울러 지자체가 지역사회 문제 해결 등을 위한 펀드 조성 시, 지역의 투자·보육 전문기업에 우선 위탁 운용토록 하고, 지자체 합동평가 지표에 '지역 창업생태계 활성화' 관련 항목을 신설한다.
지역의 성장지원 서비스 공급 확대를 위해선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전문서비스 공급기업의 역량 강화 지원책을 전개하고 투자심사역 등 전문인력이 지방에 정주할 수 있도록 민간 업무복합시설 건설을 지원할 방침이다.
지역의 성장지원 서비스 경쟁력 강화와 병행해 지역 벤처·창업기업의 자금조달 기회도 확대한다. 정부는 지역 벤처투자 생태계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모태펀드 지역계정 출자규모(올해 1000억원)를 단계적으로 늘려 오는 2026년까지 1조원 이상 신규 공급할 계획이다.
지역 창업초기 펀드 위탁 운용사를 선정할 때는 중점투자지역 내 지역 금융기관과 협력하는 기업에 가점을 주는 방안을 신설해 지역 금융기관의 벤처·창업기업 지원을 촉진한다는 구상이다.
김호진 기자 hoo1006@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