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살던 곳에서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확대, 고도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보건복지부 제공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보건복지부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정부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통합지원 사업을 마련해 2026년까지 전국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6일 정부세종컨벤션 센터 대연회장에서 '2024년 의료돌붐 통합지원 정책포럼'을 개최해 어르신의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위한 정책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복지부가 주최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했다. 포럼에는 전국 16개 광역시도와 시범사업에 참여한 12개 지방자치단체 담당자등 360여명이 참석해 어르신 돌봄 통합지원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방석배 복지부 통합돌봄추진단장은 ‘노인 1천만 시대를 대비하는 정책방향’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만큼 2026년까지 하위법령을 마련하고, 통합지원사업 전국화를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장민선 한국법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통합지원법의 의의와 지자체 역할’을 발제해, 어르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돌봄 통합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유애정 국민건강보험공단 통합돌봄연구센터장은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추진현황과 과제’ 주제로 발표하며 통합지원 대상자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2026년 3월 이후 전국 229개 지자체에서 의료, 돌봄 통합지원 운영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효과적인 전국 확산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선 시범사업 지자체 12개소를 제외한 각 지자체의 통합지원 관련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보완과제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노인 1천만 시대를 앞둔 지금, 어르신들의 주거⸱식사 등 일상생활부터 의료⸱간병⸱요양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지원대책이 매우 중요하다”며 “현장에 계신 지자체 담당자분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의견을 나누어 통합지원이 내실 있게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