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2월 시중 유동성이 6조원 가까이 늘어나면서 시중 통화량은 9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4년 2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광의통화(M2) 평균 잔액은 3929조 9000억원으로 1월 대비 5조 7000억원이 늘었다. 지난해 6월부터 8개월째 오름세다. 다만 증가폭(0.1%)은 전월(0.3%)에 비해 감소했다.
M2는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의미하는 협의통화(M1)에다 머니마켓펀드(MMF), 만기 2년 미만의 예적금 및 금융채, 시장형 상품과 실적배당형 상품 등을 모두 포함한 통화지표를 뜻한다. 이는 주로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금융상품별로 정기예적금은 1월 대비 무려 18조 3000억원이 증가했으며, 수익증권은 6조 8000억원이 늘었다. 반면, 2년미만 금전신탁(-9.2조원)과 MMF(-5.5조원) 등은 1월보다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12.7조원), 기타금융기관(+4.8조원), 기타부문(+1.8조원) 등이 증가했으나, 기업부문(-5.9조원)은 감소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저축성예금만 포괄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M1)은 1월대비 3조 5000억원이 줄어든 1217조 7000억원을 기록하며 5개월 만에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정기예적금은 예금금리 고점 인식, 은행의 자금 유치 노력 등으로 증가했고. 수익증권은 주식형 펀드에 자금이 유입되며 증가했다”며 “금전신탁은 순발행이 이어지던 정기예금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순상환되며 감소했고, MMF는 사회보장기구를 중심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관련기사
- 카카오뱅크, 한국장총과 손잡고 이공계 장애대학생 지원 '박차'
- 수출입물가 3개월 연속 상승…'반도체 가격·유가 상승 영향'
- 확대되는 금융플랫폼, 필요한 건 '소비자 보호·안정성 제고'
- IBK기업은행, 보이스피싱 보상보험 무료 가입 지원
- 토스뱅크, 1000만 고객 달성…"지속가능한 혁신 이어갈 것"
- 신한금융, 행안부·경찰청과 ‘범죄 피해자 지원사업’ 맞손
- '성장률·인구밀도·MZ비율' 은행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방글라데시
- '제보의 힘' 보험사기 제보 78%, 적발 기여…포상금 19.5억
- 한화 금융계열사, 장애인 의무고용인원 초과 달성
- 하나은행, 금융권 최초 상속인 위한 '유산정리서비스' 선보여
- 신한은행, 중구·중랑구와 '땡겨요 공공배달앱' 업무협약
- 확대되는 플랫폼 노동시장…금융 접근성은 '아직'
- 지난해 수출입결제 비중 美 달러화 감소, 원·유로 증가
- 3월, 거주자외화예금 전월比 11.2억달러↓…환율 상승 차익실현 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