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주담대 5.8조↑…매매 둔화에도 집단대출 수요 확대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5조원 넘게 증가하며 8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다만, 증가폭은 다소 둔화됐다. /한국은행 제공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5조원 넘게 증가하며 8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다만, 증가폭은 다소 둔화됐다. /한국은행 제공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5조원 넘게 증가하며 8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증가폭은 이전 달에 비해 다소 둔화됐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23년 11월 중 금융시장 동향'애 따르면, 11월 중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091조 9000억원으로 10월보다 5조 4000억원이 증가하며 지난 4월 이후 8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다만 증가폭은 10월의 6조 7000억원과 비교해 1조 3000억원이 둔화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은행권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 증가로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기타대출이 감소 전환하면서 증가규모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11월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0월보다 5조 8000억원이 늘어난 845조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가폭은 10월(5조 7000억원)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조치로 9월 이후 주택 매매 거래가 둔화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축소되고 있다"며 "다만 10∼11월 입주 물량이 많아 잔금 마련을 위한 집단대출 수요가 확대돼 전체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는 다소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잔액은 245조 4000억원으로 전월 보다 3000억원이 줄며 한 달 만에 감소 전환했다. 이는 고금리의 영향이 지속된 가운데 지난달 연휴 소비 자금 및 공모주 청약 관련 자금 수요가 소멸된 영향이다. 

11월 은행 기업대출 잔액은 10월보다 7조 3000억원이 증가한 1253조 7000억원을 기록했다. 대기업 대출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면서 10월(증가폭 8조 1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대기업 대출은 (+4.3조원 → +1.5조원)은 운전자금을 중심으로 지난달 대비 증가폭 축소됐으며, 중소기업대출(+3.8조원 → +5.8조원)은 중소법인을 중심으로 증가 규모가 확대됐다. 

금융감독원은 "11월 가계대출이 은행권 주담대 증가세 둔화 등으로 10월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으나, 가계부채 규모가 여전히 높은 수준인 만큼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어서 "변동금리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은행권 가계대출 현장점검 결과 발견된 영업 및 대출 심사 관련 미흡사항 개선 등 앞서 발표한 과제를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