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수출입물가지수가 환율과 국제유가 영향에 4개월 연속 동반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3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100)는 140.38로 9월(139.67)보다 0.5%가 상승했다.
7월부터 넉 달 연속 상승했으며, 상승폭은 9월(2.9%)보다 축소됐다.
수입물가는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광산품이 내렸으나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이 오르며 상승했다.
두바이유가(월평균, 달러/bbl)는 9월 93.25달러에서 10월에는 89.75달러로 내렸다. 이는 지나달 대비 대비 3.8%, 지난해 동월보다 1.5% 하락한 것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중간재는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0%), 화학제품(1.1%) 등이 오르며 0.9% 상승했다. 자본재 및 소비재는 각각 지난달 대비 0.8%와 1.0%가 올랐다.
반면 원재료는 광산품(-0.5%)을 중심으로 지난달 대비 0.4%가 하락했다.
10월 수출물가지수는 120.17로 9월(119.62)과 비교해 0.5%가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가운데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오르며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0월 원·달러 평균 환율은 1350.69원으로 9월(1329.47원)에 비해 1.6%가 상승했다.
품목별로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4.9%), 제1차금속제품(-0.8%) 등이 지난달 대비 내려갔으나,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6%), 운송장비(1.7%) 등이 올랐다.
농림수산품은 과일(-8.0%)을 중심으로 지난달 대비 0.7%가 하락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관련기사
- 퇴직연금 자산관리 적립금, 은행과 증권사간 차이 더 벌어져
- ‘3고(高)’에 조정 국면 접어드는 부동산 시장
- [은행, 상생을 외치다]⑤ '온기 나누는 따뜻한 금융' NH농협은행, 금리인하·우대금리·수수료 면제도
- 케이뱅크 3Q 순익, 132억원 '48.4%↓'…"충당금 영향"
- 신한은행, 농림축산식품부·기아·그리너리와 온실가스 감축 '맞손'
- 한국씨티은행, 3분기 누적 당기순익 2520억원…전년比 80%↑
- 국토부, 전세사기 피해자 694건 추가 인정… 누적 8284건
- IMF, 올해 한국 물가상승률 3.6%로 상향… 내년 말에는 2% 전망
- 국내 주유소 기름값 6주째 하락… 휘발유 3개월 만에 1600원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