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연합뉴스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연합뉴스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정부가 제45차 런던협약 및 제18차 런던의정서 당사국총회에 참석해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의견을 전했다. 

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와 외교부로 구성된 정부 대표단이 런던의정서에 참석해 올해 당사국총회의 주요 의제에 대한 우리측 의견을 적극 표명했다. 

런던의정서는 폐기물의 해양투기를 금지하여 해양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제정된 국제협약으로, 우리나라는 각각 1993년과 2009년에 가입했다. 매년 개최되는 당사국총회에서는 회원국이 폐기물을 협약에 따라 처리하는지 여부를 점검하고 논의한다.

이번 회의에서 우리 정부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사업을 소개하고 향후 CO2 수출입 관련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해양 미세플라스틱 저감을 위해 UN 플라스틱 협약 마련을 위한 지원을 약속하고 내년 한국에서 개최 예정인 정부간 회의(INC-5)에 대한 관심과 지지를 요청했다. 

또한 우리나라가 지난 2018년부터 시행중인 런던의정서 인력양성 프로그램(LPEM) 과정을 소개하고 많은 국가의 관심 및 인재 추천을 요청했다.

아울러 우리 정부 측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와 관련해 모든 당사국에게 해양환경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을 강조하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과정에서 확인되는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줄 것을 요청하는 등 오염수가 해양환경 보호 기준에 부합되는 수준으로 안전하게 처리돼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이와 관련, 국제원자력기구(IAEA) 대표단은 당사국총회 현장에서 현재 IAEA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원전 오염수 모니터링 과정, 분석 결과 등 관련 정보를 공유했다.

이번 회의에 우리나라 수석대표로 참석한 이수호 주영국대사관 겸 국제해사기구(IMO) 대표부 해양수산관은 "우리 정부는 해양환경 관련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국제 논의에 적극 참여했다"며 "앞으로도 우리 정부는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사회 노력을 지속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