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시중에 풀린 돈이 4개월 만에 증가했다. 은행 수신 금리가 오르면서 정기 예적금으로 돈이 몰린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23년 6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6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803조 3000억원으로 5월보다 18조원(0.5%) 증가했다.
M2 통화량은 3월(-0.2%)부터 4월(-0.4%), 5월(-0.3%)까지 석 달 연속 감소하다 6월에 4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인 M2는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의미하는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의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금융 상품별로 은행 수신금리 인상 영향에 정기 예적금이 전월대비 9조 5000억원 늘었다. 예금은행의 수신금리는 지난 5월 3.5%에서 6월에는 3.65%로 상승한 바 있다.
수익증권은 주식형 및 채권형펀드를 중심으로 6조 6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금전식탁은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 자금 수요가 늘어나면서 4조 3000억원 줄었으며, 요구불예금은 정기 예적금으로 자금이 이동하면서 2조 9000억원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은행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5조 1000억원, 기타금융기관도 4000억원 늘었다.
반면, 기업과 기타부문은 각각 전월대비 1조 2000억원, 1000억원 감소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협의 통화량(M1)은 전월보다 3조 4000억원 줄어든 1175조 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