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음원시장에서 선한 기술로 활용되는 모범사례 만들 것”
[한스경제=노이서 기자] KT의 AI 음악 플랫폼 기업 지니뮤직이 AI 스타트업 주스와 함께 국내 최초로 AI 악보기반 편곡 서비스 ‘지니리라’를 공개했다. 좋아하는 음악을 AI가 디지털 악보로 구현하면 이용자가 손쉽게 편곡할 수 있게 도와주는 AI 음원 서비스다.
28일 KT에 따르면 지니뮤직과 주스가 이날 ‘지니리라’ 베타버전을 론칭했다. 지니리라는 ‘지니에서 리메이크음악을 즐겁게 부르자’는 의미로, 음원을 업로드하면 AI가 즉석에서 디지털 악보를 그려주고 이용자는 그 악보를 편집해 편곡까지 할 수 있는 서비스다.
KT 관계자는 “평소 작곡과 편곡에 관심 있던 소비자들의 진입장벽을 AI로 낮춰 줌으로써 창작의 재미를 선사하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공개된 지니리라 베타 서비스에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정식 유통되는 음원만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작업물은 서버 내에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원작자들이 2차 저작을 원치 않는 음원의 업로드는 제한하는 등 AI 기술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면서도 저작권 이슈까지 해결하려는 의지가 반영됐다.
지니리라는 올해 안에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이용자들이 편곡한 음원을 출시까지 할 수 있게끔 준비할 계획이다. 동시에 수익창출시 원작자에게도 수익이 배분될 수 있도록 2차 생산 저작물에 대한 투명한 정산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또한 프리미엄 서비스를 통해 아티스트들의 창작에 도움되는 툴을 제공, AI 기술의 강점을 활용해 아티스트들이 창의적인 작품을 생산해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면 창작자들의 즉흥 연주를 악보로 변환한다거나, 갑자기 떠오른 악상을 허밍으로 녹음했다가 추후 ‘지니리라’를 통해 악보로 전환 및 작업하는 방식 등이다.
지니뮤직과 주스는 이를 통해 크리에이터로 변신한 이용자와 원작자 양측에 음원수익 창출의 기회를 확대해 주고, 플랫폼으로서의 가치도 확대해 나가겠다는 로드맵을 갖고 있다.
KT 관계자는 “AI는 음악가와 협업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지니리라를 시작으로 원작자와 크리에이터, 플랫폼이 상생할 수 있는 AI 기반 음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 음악산업에서 AI가 선한 기술로 활용되는 모범사례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니뮤직과 주스는 지니리라 공개와 더불어 리메이크 음원 시장을 키우기 위해 김형석 PD가 운영 중인 음원 IP 전문 플랫폼 뮤펌과 ‘아이엠 리본’ 프로젝트도 진행하기로 했다.
아이엠 리본 프로젝트는 김형석 PD의 유명 히트곡을 지니리라를 통해 재탄생시키고 지니뮤직을 통해 음원까지 발매하는 프로젝트다. KT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AI 기술이 원작자와 크리에이터간 상생 생태계를 만드는데 기여한 선례가 될 전망이다.
지니뮤직과 주스는 향후 KT와도 협력해 아시아권 등 글로벌 시장으로 AI 리메이크 사업을 확대, K-팝 음악의 가치를 널리 알려 나가겠다는 계획도 하고 있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마켓닷어스에 따르면 세계 음악 생성 AI 시장 규모는 지난해 2억 2900만달러(2992억원)에서 10년 뒤인 2032년에는 26억 6000만달러(3조 4753억원)로 11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이서 기자 yiiiseo@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