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커머스와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업종에 치중돼
[한스경제=노이서 기자]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유니콘 기업 비중이 절반 가까이 감소했고, 글로벌 유니콘 기업 수가 2.7배 증가할 때 한국은 1.4배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조사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전 세계 유니콘 기업 수가 449개에서 1209개로 2.7배 늘어나는 동안 한국의 유니콘 기업 수는 10개에서 14개로 1.4배 증가하는데 그쳐, 한국 유니콘 기업의 전 세계 비중은 2.2%에서 1.2%로 1%p 감소했다.
주요 국가별 유니콘 기업 수는 대부분 증가했으며 비중이 증가한 국가는 미국(48.6%→54.2%), 인도(4.5%→5.8%), 프랑스(1.1%→2.1%), 이스라엘(1.6%→2.0%) 등이다. 감소한 국가는 중국(24.3%→14.0%), 영국(5.3%→4.1%), 한국(2.2%→1.2%), 인도네시아(1.1%→0.6%) 등으로 집계됐다.
미국의 경우 218개에서 655개로 전 세계 유니콘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6%p 올라 반 이상을 차지했다. 중국은 최근 5년간 109개에서 169개로 비중은 10.3%p 낮아지며 감소 추세를 보다.
전 세계 유니콘 기업의 가치로 보면 2019년 1조3546억 달러에서 2023년에 3조8451억 달러로 183.9%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한국은 290억 달러에서 325억 달러로 12%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유니콘 기업가치 중 한국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2.1%에서 2023년 0.8%로 1.3%p 감소했다. 미국은 같은 기간 4.6%p 증가했고 중국은 10.3%p 감소했다. 프랑스와 호주, 이스라엘, 캐나다의 기업가치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이고, 인도와 영국 등은 5년 전과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유니콘 기업은 이커머스(28.6%),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21.4%), 모바일·통신(14.3%) 등 일부 업종에 집중돼 있었다.
최근 5년간 기업 수가 증가한 업종은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였고, 공급망·유통·배달 업종, 모바일·통신 순으로 집계됐다. 감소한 업종은 헬스케어와 핀테크, 관광, 소매, 이커머스 등이었다.
전경련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유니콘 기업이 가장 많은 업종은 핀테크(21.3%),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18.9%), 이커머스(8.9%), 헬스케어(8%), 인공지능(7.6%), 공급망·유통·배달(5.5%), 사이버 보안(4.8%)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유니콘 기업은 주요 국가 대비 이커머스(28.6%), 모바일·통신(14.3%), 소매(7.1) 업종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반면 핀테크(7.1%), 헬스케어(0%), 데이터 관리 및 분석(0%), 인공지능(0%) 분야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경련 관계자는 “한국의 유니콘 기업은 주요 국가에 비해 데이터 분석 기술 기반 기업보다 커머스, 통신, 유통 등 판매와 통신 서비스 업종에 치우쳐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국내 유니콘 기업의 글로벌 비중이 점차 작아지고 생태계의 순환이 정체되는 가운데, 스타트업이 어떻게 하면 유니콘으로 활발하게 성장할 수 있을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스타트업 성장 과정에서 원활한 투자가 필수이고 이를 위해 주요 CVC 규제 개선과 해외 진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노이서 기자 yiiiseo@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