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주력품목·신품목·고부가가치화 등 3박자가 원동력
세계 무역 순위 9년 만에 8위 도약...수출 상승세 내년에도
[한스경제=양세훈 기자] 우리나라 연간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갈아 치우며 새로운 역사를 기록했다. 이 추세라면 올해에만 6400억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반도체, 조선, 자동차 등이 수출을 주도한 가운데 새로운 수출 품목의 약진과 고부가가치화 등이 역대 최대 수출실적 달성의 원동력이다. 수출 상승세는 세계 경기 회복세와 맞물리며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은 13일 11시 36분 집계 결과, 올해 연간 수출액이 기존 수출 최대실적인 2018년 6049억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실적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우리 수출은 1964년 첫 1억달러를 달성한 이후 1977년(100억달러↑), 1995년(1000억달러↑), 2018년(6000억달러↑)에 이어 올해 연간 수출액 최고기록을 달성하며 1956년 이래 66년 무역 발자취에 새로운 한 획을 그었다.
이 같은 실적은 탄탄한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주력산업 수출의 견조한 증가가 뒷받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메모리 반도체는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고 자동차는 각 국별 누적 수출액 기준 5대 수출국 지위을 유지하고 있다.
조선은 올해 1~11월 기준, 전세계 LNG선과 친환경 선박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주량이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전기차 배터리 역시 우리 기업들 모두 전년 동기대비 두 배 이상 성장하면서, 우리나라는 세계 점유율 2위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는 9월 기준 삼성디스플레이가 60.4%, LG디스플레이가 22.7% 차지하는 등절대적인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밖에도 스마트폰 SSD TV 등이 세계 시장 점유율 1, 2위를 점유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국내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는 가운데, 반도체·조선·자동차 등 주력 산업은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지위를 공고히 다졌으며, 세계 경기 및 수요 회복에 맞춰 발 빠르게 대응한 결과 주요 산업이 모두 두 자릿수대 가파른 수출 증가율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신(新) 수출 유망 품목의 약진도 돋보인다.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등 전통산업 외에 바이오, 농수산, 화장품 등으로 수출 품목의 세대전환이 진행되면서 주력품목 집중도는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런 가운데 시스템 반도체, 친환경차,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OLED, 농수산식품, 화장품 등 신수출 유망 품목들이 모두 2018년을 넘어 최대 수출규모로 성장한 것이 올해 연간 수출액 최고치의 원동력이다.
특히 바이오·이차전지·농수산식품·화장품 등 4개 품목에서만 2018년 대비 123억달러 증가하며 수출 증가분의 45%를 차지하는 등 유망품목의 약진이 수출 최대실적에 기여했다.
화장품 연간 수출액은 2000년 이후 매해 최고치를 경신하며, 올해 처음으로 화장품 수출 5위국 반열에 진입했다. 바이오헬스 중 진단용제품은 코로나19 진단키트 등의 수출 호조로 2019년 수출 순위 20위에서 올해는 6위권을 기록했다.
수출 품목의 고부가가치화도 빼놓을 수 없다. 올해 1~11월 누계 수출단가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2018년을 넘어 최대 수출실적 달성에 기여했다. 실제 올해 수출 단가는 2018년 대비 12.6% 증가했다. 최근 단가 상승세는 수출 품목의 시장 경쟁력을 토대로, 주력 품목 내 LNG선·전기차·OLED 등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가 주요인이다. 아울러 세계 경기 회복에 따른 주요국의 수요 증가도 최대 수출액 경신에 한몫했다.
우리나라의 수출산업 위상 또한 강화됐다. 우리나라 올해 수출 순위는 작년과 동일한 7위, 무역 순위는 9년 만에 8위로 도약하며 무역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수출의 경우 코로나19 위기를 겪으며 영국·프랑스 등은 전년대비 순위가 하락한 반면, 우리나라는 작년에 이어 7위를 지켰고 무역은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주요국 무역이 동반 성장하는 가운데, 무역 순위를 끌어올리며 9년 만에 8위(최고치)로 올라섰다.
주요국의 수입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위상 변화를 10년 전과 비교하면, 미국·EU·아세안(대만 등)·CIS(러시아 등) 등 시장에서는 점유율이 상승했다. 반면 중국과 일본내 점유율은 감소했으나 수입국 순위는 동일하거나 상승했다.
수출 상승세는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글로벌 교역 및 수요 증가 등 실물경제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WTO는 지난 10월 2022년 세계 무역규모 증가율을 당초 +4.0%에서 +4.7%로 상향했다. 주요 기관들도 모두 내년 수출이 비록 증가세는 둔화하나 올해 실적을 소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한다. 단 코로나19 변이 확산, 공급망 불안정성, 중국 성장둔화 가능성 등 하방요인 또한 상존한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수출액 사상 최대실적 경신은 수출입 물류 애로, 변이 바이러스 지속, 공급망 차질 등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민·관이 함께 이루어낸 값진 성과”라며 “올해 수출 성장 모멘텀을 이어나가 내년 수출도 증가세를 지속할 수 있도록 수출입 현장애로 해소,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 미래 무역기반 확충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양세훈 기자 twonews@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