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수입 573억6000만달러...무역수지 19개월 연속 흑자
반도체, 석유화학, 일반기계, 자동차 등 13개 품목 증가
사상 첫 8개월 연속 9대 지역 수출 증가
올 연간 기준 최대 실적 달성 눈 앞...수출 7000억달러 시대 오나
수출입 화물 컨테이너가 쌓인 부산항./연합뉴스
수출입 화물 컨테이너가 쌓인 부산항./연합뉴스

[한스경제=양세훈 기자]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액이 처음으로 월간 600억달러를 돌파하며 무역 역사상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도체, 석유화학 등 수출 주력 품목들이 모두 호조세를 이어갔고 사상 처음으로 8개월 연속 9대 지역으로의 수출도 증가했다. 올해 우리나라 연간 수출액 역시 기존 최대치를 넘어설 전망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11월 수출액이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32.1% 증가한 604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또 수입은 573억6000달러로 43.6% 증가 했고, 무역수지는 30억9000만달러로 1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11월 수출액은 무역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월간 기준 최대 규모다. 종전 최고치는 지난 9월 559억2000만달러(확정치)로, 2개월 만에 기록을 경신했다. 또 2013년 10월 월간 수출액 500억달러 대에 진입한 이래 8년 1개월 만에 600억달러 대에 진입했다. 이로써 수출은 13개월 연속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올해 우리나라 수출은 연간 기준, 사상 ‘최대 수출 및 무역 규모’를 달성할 전망이다. 1~11월 기준 수출액은 5838억달러, 무역액은 1조1375억달러 규모로 역대 최고치이며, 기존 연간 최고치인 2018년 실적은 12월 중 돌파가 유력할 것으로 보인다.  

수출 품목별로는 15대 품목 중 13개 품목이(차부품·바이오헬스 제외) 증가했으며, 전통 주력산업과 신산업들이 골고루 역대 11월 중 1~2위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반도체는 17개월 연속 증가 및 7개월 연속 100억달러 등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역대 11월 중 가장 높은 실적(120억4000만달러)을 기록했다. 4분기 메모리 가격 소폭 하락에도, 모바일 수요 강세와 파운드리 업황 호조세가 이어진 덕분이다. 또 AI·자율주행차·빅데이터 등 반도체 수요가 지속 확대됨에 따라 향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중장기적 성장은 지속될 전망이다. 1~11월 반도체 수출 누계 실적은 1100억달러다.

석유화학은 국제유가 상승, 주요국 경기회복에 따른 전방산업의 수요 증가로 물량·단가가 동시에 증가하며 수출액은 역대 11월 중 1위를 기록했다. 1~11월 누계 수출액은 사상 최초로 500억달러를 돌파했고, 2011년 첫 400억달러 돌파 이후 10년 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수출 2위 품목으로 부상했다.  

일반기계는 주요국의 제조업 및 건설경기 활성화로 9개월 연속 증가했다. 2018년 10월(49억8000만달러)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47억4000만달러)했다. 11월 누계 수출액은 유일하게 연간 수출액 500억달러를 달성했던 2018~2019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올해도 연간 500억달러 돌파가 유력하다.

자동차는 3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문제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나, 생산 차질 최소화 노력 등 우리 기업의 대응과 신규모델 유럽 본격 수출 등으로 상황이 일부 개선됐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차의 수출액은 51.6% 증가하며 자동차 내 비중이 확대됐다. 

선박은 대형 해양 플랜트(Floating-LNG:부유식 LNG 생산설비, 24억달러)수출로 11월 수출액은 2017년 7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고치(35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그 외,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 운반선이 2척 수출되면서 무려 238% 증가했다. 

IT 품목은 데이터센터 투자 재개에 따른 기업용 SSD 수요 증가로 컴퓨터 수출액은 역대 2위의 실적을 달성했다. 또 미국·유럽 등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이차전지 수출은 역대 11월 중 1위를 기록했다. 무선통신(13개월 연속 증가)·디스플레이(8개월 연속 증가) 수출도 호조세를 이어갔다.

농수산식품은 지난달 기록한 역대 1위 수출실적(9억3000만달러)을 한 달 만에 경신하며 월 수출액은 10억달러 규모에 근접할 만큼 성장(9억9000만달러)했다. 특히 가공식품의(즉석밥·라면·만두 등) 수요가 코로나19 이후 가파르게 증가하며 연간 수출액도 최고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바이오헬스는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수출액은 역대 4위의 월 수출액(14억1000만달러) 기록했다. 감소요인은 작년 11월의 높은 역 기저효과로(작년 11월 진단키트 수출만 4억9000만달러)에 따라 -0.7% 감소했다. 1~11월 누계 수출액은 143억달러로 이미 작년 실적을 넘어 최고치를 경신했으며(5년 연속 증가), 올해 연간으로 첫 150억달러를 상회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나라별로는 사상 최초로 8개월 연속 9대 전 지역(미국·EU·중국·중남미·아세안·인도·CIC·일본·중동)으로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대(對)중국 수출은 사상 첫 150억달러를 넘어섰고 아세안 지역으로의 수출도 최초로 100억달러를 돌파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11월은 우리나라 무역 역사상 최초로 월 수출 규모 600억달러대에 진입하면서 수출 7000억달러 시대를 향한 첫걸음을 내딛었다”며 “하반기 수출 성장세 둔화 및 무역 수지 흑자규모 감소 등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주요 수출 품목과 주요 지역에서의 고른 수출 상승세를 이어가며 무역 흑자 기조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우리 수출의 펀더멘탈이 그만큼 탄탄하다는 것에 대한 방증”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문 장관은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오미크론), 원자재 수급 차질, 물류비용 상승 등 위협요인은 계속되고 있다”며 “수출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해 나가고 수출 기업들의 애로해소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올해 연간 최대 수출실적 달성과 함께 현재의 수출 모멘텀이 지속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과 정책수단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양세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