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련 예산 늘려 수소차·전기차 보급 확대·충전시설 지속 확충
업계·지자체, 수전해 기술 확보 노력…그린수소 생산 위한 연구 활발
[한스경제=김동용 기자] 정부가 '탄소중립 사회' 실현 일환으로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가 간 협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12일부터 3박 4일간 호주를 국빈방문해 탄소중립 기술과 수소경제 등 미래 핵심 분야에서 호주와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앞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일 트루트네프 러시아 부총리 겸 극동전권대표와 화상 형식으로 '제19차 한-러 경제과학기술 공동위원회'를 열고 한국의 수소 활용능력과 러시아의 수소 생산능력이 결합한 협력체계 진전을 시사했다.
국내에선 산업부가 내년 예산 중 수소 유통기반 구축사업에 128억원, 액화수소 검사기반 구축사업에 42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아울러 2022년 수소차 2만8000대·전기차 20만7000대를 보급하고 충전기반시설을 확충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도 고속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차 충전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업계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는 방식으로 관련 기술 연구·개발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두산은 그린수소 생산 핵심인 '수전해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울진군·에너지기술연구원 등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전남도는 '수전해 시스템 신뢰성 제고를 위한 성승시험센터 구축' 공모에 선정돼 2024년까지 국비 153억원을 지원 받아 '수전해 기술' 상용화 첫 발을 뗐다. 주목해야 할 12월 2주차 (12월 6일~12월 10일) 수소경제 주요 이슈를 돌아봤다.
◆ 한-호주, 탄소중립 기술·수소경제 등 협력 강화 전망
문 대통령의 호주 국빈 방문을 계기로 한국과 호주의 미래 첨단 분야 협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호주는 한국의 광물자원 수입 1위 대상국으로 향후 전기차·이차전지 등의 원료인 리튬·코발트·니켈·희토류 등 핵심광물 매장량이 풍부해 향후 전략적 협력 가치가 높은 국가로 평가된다.
문 대통령은 이번 국빈 방문 일정에는 호주 경제인들과 핵심광물 공급망을 주제로 한 간담회도 예정돼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전기차·이차전지 등 미래 핵심 산업을 키워하고, 저탄소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원자재인 핵심광물 공급망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양국 기업 간 협력·상호 투자 확대를 당부하는 등 정상 차원 경제외교의 일환"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문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한국과 호주는 청정에너지·인공지능·디지털 통상·우주 분야 등 신성장 협력 모델을 창출해 공동 번영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변화·보건·사이버 위협 등 비전통 안보 문제와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현안 해결을 위한 전략적 협력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호주 측은 문 대통령의 이번 방문 기간 중 탄소중립 기술·수소경제 등 미래 첨단 분야에서 한국과의 협력 강화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호주는 지난 2018년 '호주 수소 로드맵'을, 2019년에는 '호주 수소 전략'을 발표하는 등 미래 에너지원으로 수소산업을 육성하고자 공을 들이고 있다. 호주 정부는 이를 위해 한국기업의 수소차를 도입한 바 있다.
◆ 정부, '탄소중립 사회' 실현 박차…수소차·충전소 등 보급 확대
산업부는 11조7312억원으로 최종 확정된 내년도 예산안 중 수소 유통기반 구축사업에 올해 예산인 36억원보다 3배 이상 증가한 128억원을 투입한다. 액화수소 검사기반 구축사업에는 42억원의 예산이 신규 편성됐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2022년 수소차 2만8000대·전기차 20만 7000대를 보급하고 충전기반시설을 확충할 예정이다. 수소차 보급과 수소충전소 설치사업에는 올해보다 2배 가량 늘어난 8298억원이 투입되고, 전기차 보급과 충전인프라 구축에는 1조9352억원이 배정됐다. 지난해보다 8000억원 가량 늘어난 예산이다.
국토부와 도로공사는 고속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소차·전기차 충전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고속도로 전기차 충전시설은 2022년까지 1000기(지난해 말 기준 435기)를 확보하고, 수소충전소(올해 12기)는 43기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올해 10월 기준 국내 전기차는 21만1677대, 수소차는 1만8068대가 운행 중이다.
◆ 업계·지자체 협력 '수전해 기술' 확보 노력
수소산업 인프라를 뒷받침할 관련 기술 연구·개발도 속도를 내고 있다.
두산은 지난 6일 울진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한국기계연구원·한국전력기술·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등과 함께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실증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경북 울진군의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고체산화물수전해시스템(Solid Oxide Electorlysis Cell, SOEC) 실증을 위한 기술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수전해는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로, 그 중 SOEC는 '고온 수전해'라고도 불린다. 폐열 등으로 물을 끓여 발생되는 증기를 전기분해하면 이산화탄소(CO2) 배출이 없는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차세대 원전인 소형모듈원자로(Small Modular Reactor, 이하 SMR) 개발이 완료되면 수소 수요지 인근에 SMR을 건설하고, SOEC 기술을 적용해 대량의 수소 생산과 저장·운송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전남도는 산업부의 '수전해 시스템 신뢰성 제고를 위한 성능시험 센터 구축' 공모에 선정돼 2024년까지 국비 153억원을 지원받는다. 전남도는 센터 구축을 통한 수전해 시스템을 활용해 그린수소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그린수소 메카'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과제는 수전해 시스템 장기연속 운전을 통한 신뢰성 확보와 재생전력 환경을 적용한 수전해 타입별 신회성 평가 시스템 개발 등이 목표다.
전남도는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대전환 기조에 발맞춰 청정에너지 수소생태계 육성에 집중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전남 동부권의 여수 석유화학단지와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한 부생수소를 활용해 그레이수소와 블루수소를 육성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도내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해 전주기 그린수소 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김동용 기자 dy0728@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