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철강 자회사 100% 소유한 물적분할 선택
내년 1월 28일 임시주총서 최종 결정
"지주사 전환으로 지속가능 성장 발판 마련"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김정환 기자] 포스코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지주회사 '포스코홀딩스'와 철강사업회사로 분리된다.

포스코는 10일 이사회를 열고 물적분할 방식을 통한 지주사 체제 전환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를 상장사로 유지해 미래 신사업 발굴, 그룹 사업 및 투자 관리, 그룹 연구개발(R&D)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전략 수립 등을 맡도록 했다.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는 물적분할돼 지주사가 100% 소유하게 된다. 포스코는 철강 사업회사뿐만 아니라 향후 지주사 산하 신규 설립되는 법인들도 상장은 지양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는 미래 신사업을 발굴하고 사업 및 투자 관리를 전담하는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 저탄소·친환경 시대로의 대전환, 기술혁신 가속화, ESG경영 강화 등 급변하는 경영환경 하에서 지속성장과 기업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이번 지주사 체제 전환을 통해 철강,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등을 그룹 핵심 기반사업으로 선정했다. 지주사를 중심으로 각 사업들의 경쟁력 제고 및 시너지 창출, 미래 신사업 발굴 및 육성 등을 한층 강화해 그룹의 균형있는 성장체제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포스코는 오는 2030년 기업가치를 현재의 3배 이상 증가시킨다는 목표다.

포스코 관계자는 “과거에도 수차례 지주사 전환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과거 경험해보지 못한 혁명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 시점이야말로 경영구조 재편에 최적기라는 이사회의 공감대가 있었다”며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그룹의 지속가능한 성장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내년 1월28일 지주회사 체제 전환 승인을 위한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포스코가 인적분할 대신 물적분할을 선택한 것은 개정된 상법 및 공정거래법에 따른 지주회사의 자회사 지분을 확보하는 데 많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인적분할을 위해선 지주회사가 사업회사의 지분 30%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포스코의 자사주 비중은 13.26%에 불과하다. 결국 인적분할 방식을 선택할 경우 16.74% 이상의 지분을 추가 취득해야 하는 데 자금적인 부담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물적분할 방식을 선택함에 따라 지분 추가 취득 부담은 해소했지만 국민연금 등 주주들의 반발을 넘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국민연금은 포스코 지분의 약 10%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앞서 국민연금은 LG화학,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 물적분할 안건에 대해 반대표를 던진 바 있다.

이날 코스피시장에서 포스코는 전 거래일보다 4.58%(1만3500원) 하락한 28만1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사회에서 지주사 전환 안건을 논의한다는 소식에 장 초반부터 약세를 보였다. 

김정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