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준희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임대주택단지 관리사무소에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이른바 ‘갑질’ 문제를 예방함과 동시에 안전하고 편안한 근무환경을 만들기 위해 주거 행복지원센터 근로자 보호 대책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주거 행복지원센터는 LH가 운영하는 임대주택단지 관리사무소로 지난해 네이밍 공모를 통해 임대주택 입주민의 ‘종합 주거서비스 제공 및 공동체의 행복 지원’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현재 LH는 전국 1203개 행복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대책은 경비·미화 등 전국 행복지원센터 근로자 1만9000여 명에게 폭언·폭행 등으로부터 안전한 근무 여건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영구·국민·행복주택 내 행복지원센터 중 폐쇄회로(CC)TV가 설치되지 않은 68곳에 CCTV를 설치하고 녹화 안내문을 부착해 보안시설을 강화한다. 물리적 가해행위에 대한 방어를 위해 민원 창구에 투명 아크릴 민원보호대도 설치된다.
또 위기 발생 시 수사기관의 도움을 받고 추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찰서 등과 협조체계를 구축한다. 경남 진주시 소재 5개 행복지원센터에 비상 호출벨을 시범적으로 설치하고 전국 지역본부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제도적으로는 ‘임대주택 표준관리규약’에 임대주택 근로자에 대한 갑질 금지 조항을 신설하고 주택관리업체 직원의 안전관리대책 수립을 의무화한다.
민원인 폭언·폭행·성희롱 등 갑질 행위 발생 시 직원은 경중에 상관없이 관리대장 작성 등 증거를 수집하고 관할 수사기관에 즉시 신고할 수 있다. 신고 주체는 제3자도 가능하다.
피해 발생 이후에는 피해 직원의 신체적·정신적 후유증 예방을 위해 업무중단, 배치전환 등 휴식과 보호 조치를 보장한다. 이를 이유로 주택관리업체는 직원 해고 및 불합리한 처분을 할 수 없다.
LH는 임대아파트 관리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실시하고 있다. 관리 용역 게약 시 인건비 등 미지급 비용은 정산하도록 관리규약을 개정해 입주민의 불합리한 부담을 없애고 주기적인 단지관리 평가를 통해 하위 5% 업체는 의무적으로 교체해 관리서비스 품질을 확보한다.
LH 자체 전문 감사위원을 투입해 단지관리 감사를 실시하고 주택관리 통합시스템을 구축해 회계 등 관리소 업무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도 실시할 계획이다.
LH 관계자는 “임대주택 근로자가 안전하고 존중받으며 일할 수 있도록 근로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투명한 임대단지 관리로 입주민 만족도를 제고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희 기자 kjun@sporbiz.co.kr
관련기사
- [이슈분석] 부동산 정책 실패 자인한 文, 투기와 전쟁은 '끝까지 간다’
- 文대통령, 취임 4주년 소회…"가장 아쉬웠던 점은 부동산 문제"
- 취임 4주년 文대통령, 지지율 반등 36%…부정평가 2.3%p 하락
- 김종천 과천시장 등 3기 신도시 지자체장, “LH, 당초 정부 방향대로 사업추진해야”
- LH, 혁신위원회 출범… 위원장에 김준기 서울대 교수
- “서울 총량적 공급확대 시급… 중장기적 주택정책 플랜 마련해야”
- 김현준 LH 사장, 주거복지 현장 방문해 어르신 위로
- 김현준 LH 사장, 안양시 공공전세주택 현장 방문 점검
- LH, 연해주 한·러 경협산단 사업 본격 착수
- 김현준 LH 사장, ‘본지구 지정요건 확보’ 증산4구역 방문
- LH, 건설현장 산업재해 감축 ‘안전경영선포식’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