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정의선 회장 "강건한 수소생태계 조성하겠다"
(왼쪽부터)김세훈 현대차 부사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이 16일 포항 포스코청송대에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수소트럭 등 수소전기차 1500대를 공급하고 연료전지 발전사업을 공동 추진하는 등 수소 관련 사업에서 다각적인 협력을 추진한다.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은 16일 포항 포스코청송대에서 ‘수소 사업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공영운 현대차그룹 전략기획담당 사장 ▲김학동 포스코 철강부문장 ▲박종성 현대제철 부사장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등이 참석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은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수소 생태계 구축을 통한 탄소중립 달성이 필요하다는데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양사는 상호간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협력 분야를 적극 모색한 끝에 이날 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협약식에 앞서,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포스코의 스마트고로 중 하나인 포항2고로를 둘러봤다. 스마트고로는 딥러닝 기반 AI기술로 고로의 상태를 자동제어해생산성과 쇳물 품질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포스코에는 현재 포항 2기,광양 2기 등 총 4기가 가동 중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수소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전 산업분야와 모든 기업이 당면한 과제이자 지속가능한 미래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며 “포스코그룹과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함으로써 강건한 수소 산업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은 이번 협약을 통해 포스코 포항·광양제철소에서 운영 중인 트럭 등 차량 1500대를 수소전기차로 단계적 전환한다. 제철소 내 상용차용 수소충전소도 구축케 한다.

또 포스코그룹은 수소를, 현대차그룹은 수소연료전지를 공급하는 형태로 연료전지발전사업을 공동 진행한다.

공동 연구개발 사업으로 그린수소 생산·이용 관련 기술과 수소전기차에 적용 가능한 차세대 소재를 개발하고, 해외에서도 수소 관련 사업 참여 기회를 적극 모색한다. 현대차는 해당 국가 및 인근 지역의 수소전기차 등의 수요 발굴도 추진한다.

현대차그룹은 앞서 수소전기차 넥쏘, 수소트럭 엑시언트, 수소버스 일렉시티 등을 성공적으로 출시했다.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50만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70만기를 생산할 계획이다.

포스코그룹도 지난해 12월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 이라는 비전을 발표했다. 2050년까지 수소 생산 500만 톤 체제 구축 및 수소 사업에서 매출 30조 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김호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