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올 하반기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선발률 13.4% 그쳐
24시간 가동률 80%대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의 응급실 전경.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의 응급실 전경. /연합뉴스

|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 소아 응급의료 체계의 핵심인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가 인력난과 운영 불안정으로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중증 소아 환자의 최종 보루인 이들 센터의 24시간 가동률이 80%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 의료인력인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선발률이 역대 최저 수준인 13.4%에 그치며 시스템 붕괴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소아 응급의료 시스템의 위기는 일시적 현상이 아닌 장기간 누적된 구조적 실패의 결과다. 소아청소년과 레지던트 지원율은 2015년 상반기 113.2%로 정원을 초과했으나 이후 꾸준히 하락하여 2024년 상반기에는 30.4%에 그쳤다.

올해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모집 인원(770명) 대비 단 103명(13.4%) 모집에 그쳤다. 

정부가 지정한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는 2024년 2월 10곳에서 같은해 12월 12곳으로 확대됐으나 24시간 정상 운영되는 기관의 가동률은 80%대에 머물렀다. 특히 지난 3월부터 5월까지는 충남과 세종의 병원 두 곳이 24시간 운영을 일시 중단하며 가동률이 83.3% 까지 하락했다.

전담 전문의 부족은 ‘진료 제한’ 메세지 급증으로 이어졌다.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의 진료제한 메시지 표출 건수는 2024년 2월 94건에서 2025년 3월 270건으로 약 2.9배 급증했다. 이는 아이들이 응급 상황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위험이 상시 존재함을 의미한다.

장종태 의원은 “현재 소아 응급의료 체계는 단순히 인프라를 확대하는 것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며 “단기적인 재정 지원을 넘어, 소아과 의료진의 이탈을 막고 필수 의료 분야로의 인력 유입을 촉진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아이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김동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