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 금융당국이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한 피해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172조원의 정책금융을 투입한다.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는 95조원을 지원한다.
금융위원회는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품목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금융업계의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美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를 개최했다.
먼저, 한국산업은행, IBK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수출입은행,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은 관세위기에 대응해 내년까지 총 172조원을 지원한다. 올해 초부터 8월말까지 이미 약 63조원이 공급됐다.
지원 분야는 △경영애로 해소(36.3조원) △수출다변화(33.3조원) △산업 경쟁력 강화(91.5조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11조원) 등이다.
대표적으로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은 '위기대응지원 특별프로그램'을 통해 관세피해 중소·중견기업에 긴급 경영자금을 지원한다.
한국산업은행은 지원대상을 관세 피해기업에서 수출 다변화 기업까지 확대하고, 지원 한도도 10배 증액(중견 50억→500억, 중소 30억→300억)할 계획이다.
또한 한국산업은행이 제시할 수 있는 금리도 기존 최저금리에서 0.2%p 인하에서 0.5%p 인하로 추가 인하할 계획이다. 더불어, 한국수출입은행도 지원대상을 신용등급 열위 기업에서 전체 중소기업으로 확대·개편하고 최대 2.0%p의 우대금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은 관세피해 등 대내외 환경변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 대상 '위기대응 특례보증'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집행하기 위해 평가 절차 및 제출서류 등을 간소화한다.
IBK기업은행은 전국 640여개 지점을 통해 ‘금융애로 상담창구’를 운영해 미국 관세정책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들에 상담을 제공하였으며,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체 수출시장 발굴, 원가 절감을 위한 수익성 분석 등 맞춤형 컨설팅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자산관리공사는 미국 관세부과 등으로 피해가 우려되는 수출기반 주력산업의 사업재편 및 재무건전성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6호) 조성을 추진 중이다.
원활한 민간투자 유치를 위해 후순위 출자비중을 기존펀드 대비 확대(5%→10%)하고, 펀드 조성금액의 60% 이상을 주력산업에 투자하여 주력산업 종사기업과 협력업체(예:자동차 부품제조, 석유화학 전·후방 기업 등) 등을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자산관리공사 자체 기업지원프로그램(S&LB, DIP금융 등)을 기업구조혁신펀드와 병행·연계하여 지원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운영해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5대 금융지주는 관세위기에 대응해 2026년까지 총 95조원을 지원한다. 연초부터 8월말까지 약 45조원을 공급했다. 금융지원 상품은 금리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이다.
주요 상품으로는 △유망성장산업, 제조업 중소법인 대상 특별 금리 우대 △신기보, 지역보증 특별출연을 통한 대출 지원 △현대·기아차 협력사 대출지원(이상 KB금융) △미래혁신산업 '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대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산업단지 전용 신상품(이상 신한금융) △자동차 산업 수출경쟁력 강화 프로그램(하나금융) △수출기업 등 유동성 공급 및 금융비용 경감(우리금융) △소부장 등 중소·중견기업 P-CBO 발행확대, 관세피해 대기업 협력업체 금리우대(이상 NH농협금융) 등이 있다.
김병칠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관세 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에서 있어서 금융권의 협력이 중요한 시점이다"며 "금융감독원이 운영하고 있는 중소기업 애로상담 센터를 통해 일선에서 현장의 애로사항을 발굴하고 건의·해소하는데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관세지원은 숫자도 중요하지만 절박하고 절실한 피해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며 "금융위원회도 피해기업, 금융권과의 긴밀한 소통 이어가며 실질적인 지원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