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서울 아파트값 0.12% 올라…전주(0.16%) 대비 상승폭 0.04%p 축소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부동산원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부동산원

| 한스경제=한나연 기자 | 6·27 대출규제 영향이 지속되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5주째 둔화세를 나타냈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7월 넷째주(28일 기준) 전국 주간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 올라 상승폭이 전주(0.16%) 대비 0.04%포인트(p) 축소됐다. 이로써 6·27 대책 발표 직후인 6월 다섯째 주(6월30일 기준) 이후 5주째 둔화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3구의 경우 서초구는 0.21% 올라 전주(0.28%)보다 상승폭이 둔화됐고, 강남구(0.14%→0.11%)와 송파구(0.43%→0.41%)도 상승폭이 축소됐다. 강북권에서도 용산구는 지난주 0.24% 올랐으나 이번 주 0.17%로 상승폭이 줄었고, 성동구 역시 0.37%에서 0.22%로 줄었다. 마포구는 0.11% 상승해 상승폭을 유지했으며, 도봉구만 0.02%에서 0.04%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재건축 이슈 단지 등에 대한 상승 거래가 국지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부동산 시장 참여자의 관망심리가 지속되는 등 전반적인 수요가 위축되면서 서울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0.06%→0.04%)의 상승폭도 축소됐다. 인천은 0.03% 하락했고, 경기는 0.01% 상승했다.

지방은 0.02% 떨어지며 전주 (-0.03%) 대비 하락폭은 줄었다. 5대 광역시는 0.04% 하락했고, 세종은 0.04% 올랐으며 8개도는 0.02% 떨어졌다.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한국부동산원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한국부동산원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1%)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2%→0.01%)은 상승폭이 축소됐으며, 지방(0.00%→0.00%)은 보합 유지됐다. 

한편 서울(0.06%→0.06%)은 상승폭을 유지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역세권 및 대단지 등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중심으로 매물부족 현상을 보이며 서울 전체 상승폭이 유지됐다"고 설명했다. 

한나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