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생활 위생관리 중요
"방치시 시력 저하 우려…전문의 진료 받아야"
|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 장마가 끝나고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수영장, 계곡, 바다 등으로 떠나는 피서객들이 늘고 있다. 물놀이와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에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결막염이 급증하는데, 이를 단순한 눈의 피로로 여기고 방치할 경우 만성화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9일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 따르면 결막염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바깥쪽을 덮고 있는 투명한 점막인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세균성, 알레르기성으로 구분된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여름철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데, 아데노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며 수영장이나 워터파크 등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 전염력이 높아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도 옮을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도 여름철에 흔히 발생하는 형태다. 자외선 노출, 미세먼지, 꽃가루, 동물의 털 등이 원인이다. 냉방기 사용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건조하거나 자극적인 경우 증상이 악화되기도 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눈의 충혈, 이물감, 가려움, 눈곱 증가 등이 있다.
여름철 결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활 속 위생관리가 중요하다.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렌즈 착용 전후 손 위생을 철저히 해야 한다. 물놀이 후 콘택트렌즈 착용이나 눈을 비비는 습관이 염증을 악화시키거나 2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햇빛이 강한 날에는 선글라스나 안경을 착용해 자외선 노출을 줄이고, 자주 사용하는 수건이나 베개, 침구류는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
김동현 고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는 “결막염은 대부분 가볍게 지나가는 질환으로 인식되지만, 방치할 경우 각막까지 염증이 번지거나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눈 건강은 소홀하기 쉬운 만큼 작은 불편도 가볍게 넘기지 않고 살피는 자세가 중요하다”며 “간단한 생활 습관만으로도 결막염을 예방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고대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로봇수술 3000례 달성"
- 윤성구 고대 안암병원 교수, 대한비뇨내시경로봇학회 RUVIcon Best Award 수상
- 이선미 고대 안암병원 교수, 아시아부인과로봇수술학회 우수초록상 수상
- 박호진 고대안암병원 교수 "귀 재건 수술 개발, 소이증 환자 도와"
- 고대안암병원 "공동 연구팀, 방광암 스마트폰 조기진단 키트 개발"
- 고려대 의대 백신혁신센터, 한국형 ARPA-H 주관기관 선정
- 고려대 의대 "성재영 교수, 신약후보물질 ‘NS101’로 알츠하이머병 치료 전략 제시"
- 고려대 안암병원, 광복 80주년 기념 독립운동가 전시회·음악회 개최
- 고대 안암병원 "크론병, 신속한 진단·관리 중요"
- 금보라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 환자경험 우수의사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