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AI·데이터 활용 소상공인 신용평가 개선 위한 현장간담회 열려
금융위원회는 24일 오전 카카오뱅크 판교 오피스에서 권대영 부위원장(가운데) 주재로 '인공지능(AI)·데이터 활용 소상공인 신용평가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  /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원회는 24일 오전 카카오뱅크 판교 오피스에서 권대영 부위원장(가운데) 주재로 '인공지능(AI)·데이터 활용 소상공인 신용평가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  /금융위원회 제공

|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 금융당국이 데이터 기술을 충 동원해 소상공인 지원에 적극 나선다. 

금융위원회는 24일 오전 카카오뱅크 판교 오피스에서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인공지능(AI)·데이터 활용 소상공인 신용평가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 

권 부위원장은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다양한 정책들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유망한 업종의 창업을 돕고, 성장성 있고 지속가능한 소상공인을 적극 지원할 수 있도록 정확한 신용평가가 선행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대표자 개인의 신용이나 담보·보증·재정 등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자금공급 방식에는 한계가 있어 AI·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총동원해 완전히 새로운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금융위원회(금융위)는 △개인사업자 마이데이터 도입 △소상공인·자영업자 특화 신용평가시스템(SCB·Small business & self-ownership Credit Bureau) 도입 △토큰증권(STO)을 통한 소상공인 자금조달 수단 다변화 등을 추진한다. 

먼저 금융위는 개인사업자가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본인의 사업자로서의 금융정보·상거래정보·공공정보 등을 통합조회·관리하고 이를 신용평가에 반영하는 등 금융생활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사업자 전용 마이데이터 서비스인 '마이 비즈니스 데이터(My Business Data)'를 도입한다. 

마이 비즈니스 데이터는 단순한 신용정보관리 차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소상공인의 창업-영업-폐업 후 재기지원까지 전단계에 걸쳐 원스톱 금융비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될 예정이다. 창업 단계에서는 상권분석이나 창업 컨설팅 등을 통해 성공적 창업을 지원하고 영업 단계에서 정책자금 추천·매출분석·금리 등 상품 비교추천 등을 수행하며 상황이 어려워질 경우에는 원활한 폐업과 재기지원도 도울 수 있다.

신용정보원은 산재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다양한 긍정적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 통합정보센터(SDB)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금융· 비금융·비정형정보 등을 통합 집중·관리·분석해 금융권에 공유하고 사업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신용평가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상공인이 사업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인 토큰증권(STO) 관련 논의도 이루어졌다. 토큰증권을 활용하면 소상공인이 본인의 사업을 일반투자자들에게 알리고 그 사업수익을 배분하는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손쉬워질 수 있다. 토큰증권 플랫폼을 준비 중인 하나증권은 "토큰증권을 통해 사업자금이 필요한 소상공인과 소상공인 사업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들을 잘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소상공인의 금융애로 해소를 위한 주제별 릴레이 간담회, 소상공인연합회·금융권과 함께 찾아가는 지역간담회 등을 지속해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 방안을 다듬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금융위 홈페이지에 개설된 '소상공인 금융 사서함'에서 수렴 중인 현장의 의견도 신속하게 검토할 예정이다.

이성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