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점진적 수요 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 기대"
[한스경제=고예인 기자]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9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74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09% 감소했다.
실적 악화 요인으로는 반도체 사업의 경우 첨단 AI(인공지능)칩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중(對中) 제제 등이 원인이 됐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메모리 사업은 판매가 어려운 저부가 제품 중심으로 재고자산 평가 손실을 반영하면서 일회성 비용이 크게 발생했다. 다만 메모리사업은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과 같은 1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개선된 HBM(고대역폭메모리) 제품은 고객별로 평가 및 출하가 진행중이라고 DS부문은 전했다.
시스템 반도체(비메모리)는 미국의 첨단 AI칩에 대한 대중국 수출 제재로 수요가 위축됐고 이와 관련한 재고충당 비용까지 발생해 수익성이 더 나빠졌다. 비메모리 설비 가동률도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하반기는 점진적 수요 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고 DS부문은 부연했다.
다만 고부가 메모리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은 주요 고객사를 대상으로 평가와 출하가 진행 중이며 하반기부터는 수요 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과 함께 향후 적자 폭이 줄어들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공시 설명 자료에서 “DS는 재고 충당 및 첨단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이익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어 “메모리 사업은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같은 일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개선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은 고객별로 평가 및 출하 진행 중”이라며 “비메모리사업은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로 판매 제약 및 관련 재고 충당이 발생했으며 라인 가동률 저하가 지속돼 실적이 하락했으나 하반기는 점진적 수요 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으로 적자 축소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고예인 기자 yi411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