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폐배터리 혼입 따른 철강산업 현장 사고 예방 목적
철자원 상생포럼은 27일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 안성사무실에서 ‘철강업계 폐배터리 화재 대응 교육'을 실시했다./한국철강협회
철자원 상생포럼은 27일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 안성사무실에서 ‘철강업계 폐배터리 화재 대응 교육'을 실시했다./한국철강협회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철자원 상생포럼은 27일 경기 안성에 위치한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 안성사무실에서 ‘철강업계 폐배터리 화재 대응 교육'을 실시했다.

이날 교육은 전국 4개 권역에서 순차적으로 진행 예정인 교육의 첫 일정으로 경인·충청 지역 철스크랩 가공업체와 제강사 관계자 다수가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교육은 청소기, 전동킥보드, 장난감 등 다양한 생활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리튬 배터리가 적절히 회수되지 않은 채 철스크랩과 혼입돼 제강 현장 내 화재로 이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 현장에서의 실제 화재 사례를 바탕으로 한 실무 중심의 교육은 참가자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리튬 배터리의 구조 및 폭발 특성을 비롯해 ▲혼입에 따른 화재 메커니즘 ▲스크랩 선별·운송·보관 중 주의사항 ▲화재 예방 및 초기 대응 요령 등으로 구성된 교육이 끝난 후 배터리 전시관 견학을 통해 리튬 배터리의 다양한 종류와 회수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됐다.

철자원 상생포럼 사무국 관계자는 “이번 경인·충청권 교육을 통해 철강업계 전반의 안전의식이 한층 제고됐다”며 “향후 예정된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호남권 교육도 차질 없이 준비해 폐배터리 혼입으로 인한 산업 현장 내 사고를 예방하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다음 교육은 내달 7일 대구·경북권을 대상으로 KTX 동대구역 회의실에서 진행된다.

임준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